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99

중요한 결정 시 유용한 3가지 의사결정 방법 3가지 유용한 의사결정 방법 어떤 일을 결정한 뒤 밀려오는 후회감을 경험해 보신 적이 있으십니까? 우리는 종종 어떤 결정을 내린 뒤 '다른 길을 선택했더라면 더 좋았을 텐데...' 하는 생각에 시달딜 때가 있습니다. 그래서 의사결정은 중요합니다. 어떻게 하면 후회하지 않을 결정을 내릴 수 있을까요? 오늘은 후회하지 않는 의사결정 방법 3가지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감정의 도움을 받는 방법 첫번째 유용한 방법은 "감정의 도움을 받는 것"입니다. 감정의 도움으로 의사결정을 내리는 방법은 수백 년 전부터 내려오고 있는 예수회의 중요한 의사결정 방식인데, '이냐시오적 식별(Ignatian discernment)'의 핵심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냐시오적 식별이란 마음을 깨끗하게 비운 뒤 각각의 선택에.. 2023. 2. 13.
<책> 영원한 잉걸불처럼 살라 - 파스칼 브뤼크네르 [아직 오지 않은 날들을 위하여] 세계적 지성이 전하는 나이 듦의 새로운 태도 "잉걸불"이란? 잉걸불이란 '불이 이글이글하게 핀 숯덩이'나 장작불을 의미합니다. 인생을 잉걸불처럼 산다는 것은 생(生)에 대한 끊임없는 열정으로 사는 삶을 말할 것입니다. 우리의 현실 그런데 우리 사회는 은퇴제도가 있어서 한창 일할 나이임에도 나이가 들었다는 이유로 퇴직을 해야 합니다. 문제는 은퇴 이후의 삶이 너무나 길다는 것입니다. 평균 수명이 짧은 시대에는 장수가 축복인 것이 분명했습니다. 그러나 평균 수명이 길어진 시대에서 오래 산다는 것은 마냥 기쁜 일만은 아닌 시대가 되었습니다. 우리 사회는 고령화라는 문제 앞에 여러 가지 과제가 쌓여가고 있습니다. 거의 모든 사회 시스템이나 제도가 과거 고도 성장기에 맞춰서 설계된 것들입니다. 이제는 저성장 시대.. 2023. 2. 12.
융통성과 결정 장애 융통성은 대개 긍정적인 이미지로 사용됩니다. 융통성이 없는 사람을 보면 답답해 보입니다. 융통성이 없다는 것은 사고방식이 유연하지 못하고, 고집스러워 보입니다. 반대로 융통성이 있는 사람은 사고가 경직되어 있지 않고, 여러 상황에 따라 자신을 변화시키며 잘 적응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대개 융통성 있는 사람을 좋아합니다. 융통성, 과연 좋기만 한 것일까? 그러나 융통성이 과연 좋은 점만 있는 있는 것일까요? 너무 융통성이 없어도 안 되겠지만, 융통성이 지나치면 무슨 일이 벌어질까요? 융통성이 지나치면 심각한 문제가 생길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융통성의 장점과 단점에 대해 이야기를 나눠볼까 합니다. 융통성의 장점 현대 사회는 참으로 융통성이 많은 사회라 할 수 있습니다. 어떻게 사는 것.. 2023. 2. 10.
국가 장학금 "이연자 탈락" - 많이 당황하셨죠? 오늘 [한국장학재단]에서 휴대폰으로 카카오톡 알림톡이 왔습니다. 휴학 후 복학하는 딸의 학자금 지원구간이 산정되었으니 홈페이지에서 반드시 확인하라는 메시지였습니다. 학자금 지원구간 산정 결과 확인 과정 그래서 홈페이지 링크(www.kosaf.go.kr)를 눌렀더니 여러 메뉴가 뜨길래, 어디로 들어가야 되나 고민하다가 "2023년 1학기 국가장학금 선발 결과"로 들어갔더니 모바일앱을 이용하라고 팝업이 뜨네요. "확인"을 클릭했더니 한국장학재단 앱이 뜨길래 "열기"를 눌렀더니 "2023년 1학기 국가장학금선발결과" 탭이 나오더군요. 클릭을 했더니 "로그인" 페이지가 나오네요. '아이디 로그인', '인증서 로그인', '디지털 원패스' 3가지 방식 중 하나를 선택하라고 나오네요. 저는 '인증서 로그인'을 선택했.. 2023. 2. 8.
액체 근대(Liquid Modernity)가 뭔가요? 액체 근대(Liquid Modernity)란? 는 폴란드 철학자 지그문트 바우만이 '후기 근대성'의 성격을 분석한 책으로서 포스트모더니즘(Post Modernism)의 수작 중의 하나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이 책에서 바우만은 전통적인 근대성을 딱딱한 고체에 비유한 반면, 현대의 근대성을 흐르는 액체에 비유하면서 현대를 후기 근대성의 시기로 파악하고 있습니다. 다시 말하면 현대 사회가 곧 "액체 근대"인 것입니다. 많은 포스트모더니즘 사상가들이 종종 '포스트(post)'를 벗어남을 뜻하는 탈(脫)의 의미로 사용합니다. 그러나 바우만에게 있어서 '포스트(post)'는 연속적이지만 질적 변화를 의미합니다. 즉 바우만은 현대의 특징을 전통적인 대립 관계가 붕괴되어 서로 섞여 흐르는 것으로 파악했습니다. 액체 근.. 2023. 2. 6.
토큰증권(ST)을 아시나요? - 합법화, 파장, 수혜주 토큰증권(ST: Securities Token)이란? 종이증권과 전자증권에 이어 제3의 형태의 증권이 탄생했습니다. 이른바 토큰증권(ST)입니다. 토큰증권이란 "블록체인 등 분산원장 기술을 활용해 발행한 증권"을 말하는데, "부동산, 미술품, 지식재산권, 저작권, 비상장주식 등 다양한 자산의 권리를 쪼갠 뒤 이를 거래할 수 있게 만든 디지털자산"(한국경제 설명)입니다. 토큰증권과 암호화폐(코인)의 차이점 증권성 여부에 따라 토큰증권과 가상자산(암호화폐)이 구분되는데, 증권에는 주식의 소유권이나 채무에 대한 권리(채권)를 담고 있지만, 가상자산에는 이런 권리가 없습니다. 또한 토큰증권은 부동산이나 지적재산권과 같은 기초자산을 담보로 발행이 되지만, 암호화폐(코인)는 기초자산 없이 발행되는 디지털자산입니다... 2023. 2.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