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피트 데이비스5

무언가에 올인(All-IN)하고 싶다면 [전념]을 읽어보라(피트 데이비스) 무언가에 올인하고 싶은데 잘 되지 않으시죠? 무언가에 올인(All-in)하고 싶은데 잘 되지 않으시는 분 계시죠? 이 일 저 일 탐색에 지쳐서 이제는 한 가지 일에 전념하고 싶지만 마음 같이 잘 되지 않는 현실이기도 합니다. 무한탐색에 지쳤어요! 이런 현상은 비단 나 자신만의 일은 아닐 것입니다. 요즘 시대가 한 가지 일에 전념하지 못하게 하는 사회인 것 같습니다. 선택지가 너무 많은 사회이기 때문입니다. 요즘 유튜브를 보면 온갖 돈 버는 방법이나 부업에 대한 영상이 많습니다. 한두 가지가 아니어서 이것저것 시청하다 보면 끝이 없고, 처음에 몇 개의 콘텐츠는 신선하게 느껴져서 관심 있게 보지만 너무나 비슷한 콘텐츠가 많아서 곧 식상해지기도 합니다. 그럼에도 뭔가 새로운 것이 없나 하고 또 다른 검색에 나.. 2023. 10. 27.
타인의 평판에 대한 두려움 극복 방법 타인이 나를 어떻게 생각할까? 인간은 사회적 동물입니다. 인간은 홀로 존재하지 않으며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 속에서 살아갑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나를 정의할 때가 많습니다. 특히 타인들이 나를 어떻게 생각할지에 대한 고민을 많이 하게 됩니다. 어떤 일을 결정할 때도 나 자신의 생각과 관점보다는 타인의 시선을 의식할 때가 많습니다. 왜 이런 일이 벌어질까요? 평판에 대한 두려움 바로 "평판"에 대한 두려움 때문입니다. 프랑스의 실존주의 사상가이자 작가인 장 폴 사르트르(Jean-Paul Sartre)는 "타인은 지옥이다"라는 말을 했습니다. 타인의 존재가 왜 나에게 지옥이 될까요? 타인의 존재는 우리의 삶에 '평가'를 가져온다고 의 저자 피트 데이비스는 말했습니다. 타인의 등장으로.. 2023. 2. 19.
나르시시즘(Narcissism)의 정체와 극복 방법 혹시 나르시시즘에 빠진 적이 있으신가요? 인간은 어느 정도 자기애(自己愛)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습니다. 약한 수준의 자기애는 자존감 내지는 자부심이라 말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자기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마인드를 갖는 것은 대단히 중요합니다. 그러나 그것이 지나쳐서 자신에 대한 집착으로 발전한다면 문제가 심각해질 수 있습니다. 자신이 리비도의 대상이 되는 정신분석학 용어 두산백과는 나르시시즘을 "자신이 리비도의 대상이 되는 정신분석학적 용어로, 자기애라고 번역한다"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리비도는 정신분석학 용어로써 성본능 또는 성충동으로 이해할 수 있는데, 자신에게서 성적 충동을 느끼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리스 신화에는 물에 비친 자신의 모습에 반하여 자기와 같은 이름의 꽃인 나르키소스, 즉.. 2023. 2. 13.
중요한 결정 시 유용한 3가지 의사결정 방법 3가지 유용한 의사결정 방법 어떤 일을 결정한 뒤 밀려오는 후회감을 경험해 보신 적이 있으십니까? 우리는 종종 어떤 결정을 내린 뒤 '다른 길을 선택했더라면 더 좋았을 텐데...' 하는 생각에 시달딜 때가 있습니다. 그래서 의사결정은 중요합니다. 어떻게 하면 후회하지 않을 결정을 내릴 수 있을까요? 오늘은 후회하지 않는 의사결정 방법 3가지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감정의 도움을 받는 방법 첫번째 유용한 방법은 "감정의 도움을 받는 것"입니다. 감정의 도움으로 의사결정을 내리는 방법은 수백 년 전부터 내려오고 있는 예수회의 중요한 의사결정 방식인데, '이냐시오적 식별(Ignatian discernment)'의 핵심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냐시오적 식별이란 마음을 깨끗하게 비운 뒤 각각의 선택에.. 2023. 2. 13.
액체 근대(Liquid Modernity)가 뭔가요? 액체 근대(Liquid Modernity)란? 는 폴란드 철학자 지그문트 바우만이 '후기 근대성'의 성격을 분석한 책으로서 포스트모더니즘(Post Modernism)의 수작 중의 하나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이 책에서 바우만은 전통적인 근대성을 딱딱한 고체에 비유한 반면, 현대의 근대성을 흐르는 액체에 비유하면서 현대를 후기 근대성의 시기로 파악하고 있습니다. 다시 말하면 현대 사회가 곧 "액체 근대"인 것입니다. 많은 포스트모더니즘 사상가들이 종종 '포스트(post)'를 벗어남을 뜻하는 탈(脫)의 의미로 사용합니다. 그러나 바우만에게 있어서 '포스트(post)'는 연속적이지만 질적 변화를 의미합니다. 즉 바우만은 현대의 특징을 전통적인 대립 관계가 붕괴되어 서로 섞여 흐르는 것으로 파악했습니다. 액체 근.. 2023. 2.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