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금리인하4

금리인하요구권 - 고금리시대 이(利) 테크 방법 요즘 고금리로 기업이나 개인 모두 힘들어하고 있습니다. 이럴 때 필요한 지혜가 이(利) 테크가 아닌가 생각됩니다. 한 푼이라도 이자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 봐야 할 시점입니다. 오늘은 이자를 절약하는 한 가지 방법인 "금리인하요구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금리인하요구권 금리인하요구권은 개인이나 기업이 금융회사로부터 대출을 받은 후 신용상태나 상환능력이 대출 당시보다 크게 개선되었을 경우 금융회사에 대출금리를 인하해 달라고 요구할 수 있는 제도를 말합니다. 2019년 6월 12일부로 이 금리인하요구권이 법제화 되었으며, 이에 따라 금융회사는 소비자에게 금리인하요구권을 안내할 의무가 생겼습니다. 만약 금융회사가 금리인하요구권에 대해 미리 안내하지 않은 경우 금융회사는 최대 1000만 원의 과태료를 .. 2023. 10. 27.
SVB 충격적 파산 - 제2의 리먼사태 되나? SVB의 충격적 파산 40년 역사를 가진 미국의 SVB(실리콘밸리뱅크)가 불과 14시간 만에 파산했습니다. SVB는 IT(정보기술) 및 헬스케어 분야의 스타트업과 벤처투자자들을 주요 고객으로 하는 은행이었습니다. SVB 파산의 원인 CNBC방송은 SVB의 파산은 40년 만에 최고로 오른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내놓은 미 연준의 공격적 금리인상의 여파라고 설명했습니다. 금리인상으로 촉발된 시장의 불안과 혼란 때문이라는 지적입니다. SVB의 주 고객은 스타트업입니다. 최근의 금리인상 때문에 기업공개(IPO) 시장은 꽁꽁 얼어붙었고 개인적 자금 조달도 어려운 상황이 되어 버린 상황입니다. 결국 스타트업들은 회사를 운영하기 위해 SVB에 묶어둔 예금을 인출해 가기 시작했고 결국 SVB의 자본 부족이 드러나고 만.. 2023. 3. 12.
주택담보대출 고정금리/변동금리 비교 선택 가이드 주택 구입 시 대부분의 사람들은 주택담보대출을 이용합니다. 그런데 한 가지 고민이 생기게 됩니다. '대출이자를 고정금리로 할 것인가, 변동금리로 할 것인가'입니다. 오늘은 향후 금리 전망과 함께 선택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주택담보대출 금리 년 초에 연 8%를 돌파했던 변동형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현재 4%대로 떨어졌습니다. 금융당국의 금리 인하 압박으로 인해 은행들이 변동형 주담대(주택담보대출) 금리를 잇따라 내리고 있기 때문입니다. 정부는 이자율을 내려 경기침체를 막고, 부동산 경기를 살려보려고 안간힘을 쓰고 있습니다. 2월 24일 현재 주담대 금리는 5대 시중은행(국민, 신한, 하나, 우리, 농협) 최저금리를 기준으로 할 때, 변동형이 연 4.53%, 고정형이 연 4.30%로 거의.. 2023. 3. 3.
FOMC 기준금리 25bp인상 발표, 나스닥 2% 상승! 오늘의 가장 핫한 뉴스는 2월 FOMC 회의 결과발표가 아닐까 합니다. 서학개미들은 물론 전 세계 투자자들의 이목이 미 연준(Fed)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 정례회의 결과 발표에 쏠렸으리라 봅니다. 간밤에 밤잠을 못 이루신 분들도 많을 듯싶습니다. 기준금리 25bp(0.25%) 인상 Fed는 기준금리 25bp 인상을 발표했습니다. 따라서 현재 미국의 기준금리는 4.5~4.75%가 되었습니다. 이러한 발표는 시장의 예상과 부합했고 시장은 환호했습니다. 나스닥지수는 2% 상승해 11,816.32로 마감했습니다. 1년간의 금리인상 과정 미 연준은 작년(2022년) 3월 0.25%p 기준금리 인상을 시작으로 제로금리 시대를 마감하였으며, 같은 해 6월, 7월, 9월, 11월에는 연속적으로 기준금리를 0.75%씩 올.. 2023. 2.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