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199 삶의 노예가 아닌 주인으로 사는 법 노예와 주인의 가장 큰 차이점 노예와 주인의 가장 큰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노예는 자기 선택권이 없이 주인이 시키는 대로 하는 종입니다. 노예가 무엇을 할 지에 대한 선택권은 오직 주인에게 있습니다. 주인은 노예를 해방시킬 권한도, 평생토록 고된 일을 시킬 권한도 있습니다. 바로 이 "선택권"의 여부가 노예와 주인의 가장 큰 차이점이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나는 내 삶의 노예인지 주인인지를 생각해 봅시다. 내 삶에 있어서 나는 어느 정도의 선택권을 갖고 있나요? 선택권을 잘 활용하고 있다면 주인으로 사는 것이고, 선택권 없이 살고 있다면 노예나 다름없는 삶일 것입니다. 과연 우리는 어떻게 삶의 주인으로 살아갈 수 있을까요? 다시 말하면 우리는 과연 어떻게 삶에서 겪는 여러 가지 일들에 우리의 .. 2023. 1. 5. 행복한 인생에 필요한 세 가지 저녁 식사를 마치니 온몸에 피곤이 몰려옵니다. '오늘은 글쓰기 힘들겠구나.' 하는 생각에 승복하고 침대로 향했습니다. 그런데 습관적으로 유튜브 앱을 클릭합니다. 눈에 띄는 영상들을 감상합니다. 피곤하다면서 눈에 더 피로를 가중시키고 있습니다. 그러다가 영상 속의 한 마디가 저의 양심을 찌릅니다. "5분 남으면 운동하고, 10분 남으면 책을 보라." '스터디언'이라는 유튜브 채널에 출연한 배재훈 전(前) 현대상선 대표의 말이었습니다. 그는 이 글귀를 써놓고 시간을 쪼개가며 실천했다고 합니다. 그런데 저는 지금 피곤하다는 핑계로 침대에 누워 유튜브를 감상하며 시간을 죽이고 있습니다. 인생을 변화시키려면 밥은 굶어도 책은 읽어야 되는데, 그러려면 정말 짧은 시간도 쪼개어 써야 되는데, 몇 시간을 남이 만들어 .. 2023. 1. 5. 2023년 계묘년, 검은 토끼의 지혜로 도약하라 2023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구독자 여러분 모두 새해 복 많이 받으시기 바랍니다. 2023년은 "검은 토끼의 해"라고 합니다. 검은 토끼를 보신 적 있으신가요? 제 기억엔 없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사진을 찾아보니 있더군요. 계묘(癸卯)의 뜻 검은 토끼를 한자로는 계묘(癸卯)라 합니다. 위키백과를 찾아보니, 계묘년은 60 간지 중 40번째에 해당하는 해입니다. 계(癸)는 검다는 뜻이 있으므로 계묘는 검은 토끼가 됩니다. 뉴스티앤티(http://www.newstnt.com)를 보니 "검은색은 지혜를 상징하고, 토끼는 평화·풍요·다산을 상징한다고 한다. 그래서 세계적 경제 불황 속에 고금리·고물가 등 대내외적으로 힘든 시기이지만, 2023년 癸卯年(계묘년)에 희망을 갖는 국민들도 적지 않은 것 같다."라고.. 2023. 1. 1. "만 나이 통일법" 시행과 "네버랜드 신드롬" "만 나이 통일법" 공포 윤석열 정부는 지난해 27일 "만 나이 통일법" 시행을 공포했습니다. 시행일은 2023년 6월 28일입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이 젊어지게 되었습니다. 이에 대한 국민들의 반응은 어떠할까요? 만 나이 시행법을 앞두고 지난해 9월에 법제처가 국민신문고를 통해 실시한 국민의견조사 결과에 따르면 81.6%의 찬성률을 기록했습니다. 찬성 이유로는 "다양한 나이 계산법으로 인한 혼란, 불편 해소 / 기존 한국식 나이 계산법으로 인한 서열문화 타파 기대 / 국제적 기준과 통일 / 체감 나이 하향" 등이 꼽혔습니다. 특히 "체감 나이 하향"은 에서 제시한 키워드 중 하나인 "네버랜드 신드롬"과 맥을 같이 한다는 측면에서 시대의 흐름을 윤석열 정부가 잘 반영한 정책 중 하나라고 평가하고 싶습니.. 2023. 1. 1. 공간력을 키우는 2023년이 되세요! "공간력"의 정의 "공간력"이라는 말을 들어보셨습니까? 에서는 '사람을 모으고 머물게 하는 공간의 힘'을 "공간력"이라 명명하였습니다. 공간의 사이즈가 크다면 작은 공간에 비해 더 많은 사람들을 끌어 들일 수 있는 힘을 갖게 됩니다. 그러나 단지 크기 만으로 공간의 힘을 전부 설명할 수는 없습니다. 왜냐하면 텅 빈 큰 운동장보다 재미있는 볼거리가 있는 작은 가게에 사람들이 더 많이 모여들 수가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작은 공간보다는 큰 공간에 더 많은 상품과 볼거리들을 진열할 수 있기에 공간의 사이즈 역시 공간력을 좌우할 수 있는 기본조건이기도 합니다. 결론적으로는 공간 자체의 크기와 또한 그 공간을 채우고 있는 내용물에 따라 공간의 힘은 달라질 수 있다고 봅니다. 또한 공간의 크기와 내용물이 주는 분.. 2022. 12. 28. 디깅(Digging) - 자신만의 특별한 행복 모멘텀(Momentum) 당신은 행복의 모멘텀을 갖고 있나요? 요즘 세상을 보면 참으로 우울한 일들로 가득합니다. 코로나에 이어 고도의 물가 상승과 경기 침체로 우리들의 삶은 점점 더 팍팍해지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여러분은 어디에서 행복을 찾고 계신가요? 행복감을 느낄 수 있는 특별한 일이 당신에겐 존재합니까? 디깅(digging)이란? 요즘 "디깅(digging)"을 통해 자신만의 특별한 행복 모멘텀을 만들어 가는 사람들이 늘고 있습니다. 그런데 '디깅'이 뭘까요? 디깅(digging)이란 '파다'라는 뜻의 영어단어 'dig'에서 파생한 단어로 '파기', '채굴'이라는 뜻을 가진 단어입니다. 디깅이라는 말이 처음 사용된 곳은 대중음악인데, 새로운 음악의 장르를 찾아내고 유행하는 음악의 동향을 분석하는 행동을 설명하는 용어.. 2022. 12. 26. 이전 1 ··· 24 25 26 27 28 29 30 ··· 3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