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99

다양한 인덱스 관계 속에서 행복한 인간관계 맺는 법 "인덱스 관계"라는 말을 들어보셨습니까? '인덱스(index)'는 색인이나 목록이란 뜻입니다. 그렇다면 "인덱스 관계"는 타인과의 관계를 색인이나 목록을 붙여 관리한다는 의미일 것입니다. 인간관계에 색인을 붙여야 될 상황이라면 그만큼 다양한 인간관계가 존재한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색인을 붙여 관리해야 될 만큼 인간관계가 참으로 복잡해진 세상이라는 것입니다. 타인에게 있어 나에게는 어떤 인덱스가 붙어 있을지 궁금하기도 합니다. "인덱스 관계"란 말은 에서 명명한 것으로 타인과의 관계에 색인을 붙여 전략적으로 관리하는 현대인의 관계 맺기 방식을 일컫는 말입니다. 인덱스 관계의 3 단계 에서는 이러한 인덱스 관계를 3가지 단계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즉 만들기, 분류하기, 관리하기입니다. 1. 인덱스 관계 만들.. 2022. 12. 23.
불황기의 똑똑한 소비 전략, 체리슈머 '현대판 보릿고개'라는 말을 들어보셨습니까? 요즘 수십 년 만에 찾아온 인플레이션 때문에 경제가 휘청이고 있습니다. 고환율로 인해 수입물가는 치솟고, 현금의 구매력은 현저히 낮아졌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소비자들의 지갑은 쉽사리 열리지 않습니다. 또한 새로운 소비 형태가 젊은이들을 중심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습니다. 이른바 "체리슈머"의 등장입니다. 당신은 체리슈머인가요? 체리슈머란? 얼마 전 저는 쿠팡의 와우 클럽 멤버십을 해지했습니다. 1달에 4,990원의 회비를 내고 있는데, 쿠팡 앱을 통한 구매를 한 번도 안 하고 지나가는 달이 있는 것 같아서였습니다. 그래서 구매할 물품이 생길 때 다시 가입하자는 생각으로 일단 멤버십을 해지했습니다. 요즘 OTT 서비스를 구독하는 사람들 중에서도 보고 싶은 콘텐츠가.. 2022. 12. 12.
오피스 빅뱅 시대, 당신이 꿈꾸는 직장은? 요즘 일 또는 직장과 관련된 많은 영역에 있어서 큰 변화가 일고 있습니다. 변화의 정도는 가히 빅뱅이라 할 만큼 폭발적입니다. 이러한 현상을 [트렌드 코리아 2023]에서는 "오피스 빅뱅(Office Big Bang)"이라 표현하였습니다. 빅뱅의 사전적 의미는 "우주의 탄생을 가져온 거대한 폭발" 내지는 "큰 변화가 갑작스럽게 퍼지거나 일어나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요즘 노동시장에 이런 거대한 변화의 물결이 일어나고 있다는 뜻입니다. 구체적으로 어떤 변화들이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오피스 빅뱅의 트리거 트리거는 방아쇠, 계기, 도화선 등으로 번역할 수 있는데, 오피스 빅뱅을 촉발시킨 도화선은 과연 무엇일까요? 앤서니 클로츠 교수는 코로나 팬데믹 이후 노동자들의 대규모 이탈을 예견하면.. 2022. 12. 8.
평균실종사회에서의 생존 전략 서울대학교 김난도 교수는 [코리아 트렌드 2023]에서 2023년 대한민국의 대표 키워드로 "평균 실종"을 제시하였습니다.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대한민국 사회는 평균이 사라지고 있는 사회라는 것입니다. 보다 정확한 표현은 평균값이 무의미해진 세상이라는 것입니다. 평균 실종의 의미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무엇일까요? 평균이 우리 사회의 모습을 대변할 수 없다는 것은 무슨 의미일까요? 김난도 교수는 평균이 기준성을 상실하는 3가지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양극화, N극화, 단극화로 표현하였습니다. '양극화'는 양극단으로 몰리는 경우이고, 'N극화'는 개별 값이 산재하는 경우이며, '단극화'는 한쪽으로 쏠리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 우리 사회는 어떤 경우에 해당할까요? 코로나 19 팬데믹 이후 2-3년.. 2022. 12. 5.
<트렌드 코리아>가 선정한 [2022년 대한민국 10대 트렌드 상품] 2022년도 대한민국에서 가장 인기 높은 상품은 무엇이었을까요? 오늘은 서울대학교 소비트렌드분석센터에서 선정한 2022년도 10대 트렌드 상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K-콘텐츠 요즘 K-콘텐츠에 대한 인기가 하늘을 찌르는 듯합니다. '오징어게임'을 필두로 요즘에는 '수리남'이 인기몰이를 하고 있습니다. '오징어게임'은 53일간 OTT 시장에서 1위를 차지했습니다. 또한 K-웹툰과 K-웹소설의 인기도 높아졌습니다. 현재 한국 문화 콘텐츠의 브랜드 파워 지수는 전년 대비 3.1점 상승한 61.6점을 기록 중이며, 한국 문화 콘텐츠의 호감도는 상당히 높은 편입니다. 드라마는 81.6%, 영화는 80.6%, 예능은 79.9%, 출판물은 75.8%, 애니메이션은 74.7%에 달하는 등 모든 영역에서 호감도가.. 2022. 12. 4.
나노사회에서 살아가기 우리는 지금 어떤 사회에 살고 있을까요? 우리 사회를 대표할 수 있는 특징적인 단어는 무엇일까요? 서울대 김난도 교수는 2022년도 대한민국을 "나노사회"라 칭하였습니다. 여러분은 나노사회의 뜻을 알고 있으며, 김난도 교수의 우리 사회에 대한 정의에 동의하십니까? 나노사회의 정의 우리는 먼저 '나노'가 무엇인지부터 알아야 할 것 같습니다. 어학사전을 찾아보니 나노는 10억 분의 1을 뜻하는 단위 개념, 또는 미소(微少)의 뜻이라고 나옵니다. 아주 작은 단위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트렌드 코리아 2022]에서는 우리 사회를 나노사회로 명명했습니다. 나노사회란 사회 구성원들의 개인적인 취향이나 산업의 형태, 사회적 가치가 아주 작은 단위로 파편화된 사회를 일컫는 말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 2022. 12.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