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98

능력주의 사회의 빛과 그림자 능력에 따라 대접받는 사회는 공정한 사회일까? 오늘날 우리는 우리 사회를 지배하고 있는 능력주의에 대해 아무런 불만이 없는가? 오늘은 능력주의가 지배하고 있는 현대사회의 빛과 그림자, 특히 가난에 대한 생각을 다루어 보고자 한다. 이 주제에 대해서는 알랭 드 보통의 에 나오는 "능력주의"를 주요 내용으로 삼았다. 가난은 자존심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이 문제는 가난에 대한 사회적 평가와 해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가난은 가난한 사람들 책임일까, 아닐까? 또 가난한 사람은 사회에서 가장 쓸모가 클까, 그 반대일까? 가난(경제적 실패)을 위로하는 옛이야기1. 가난은 가난한 사람들 책임이 아니며, 가난한 사람은 사회에서 가장 쓸모가 크다성직자, 귀족, 농민으로 이루어졌던 근대 이전의 계급사회에서는 신이 계.. 2024. 2. 25.
기대가 클수록 불안도 커진다 "부"(富)란 무엇일까? 부란 절대적인 것인가, 상대적인 것인가? 원시시대의 야만인과 현대의 노동자 중 누가 더 부자일까? "부"는 숫자적인 것인가, 감정적인 것인가? 혹시 우리는 우리 안에 있는 잘못된 부의 개념 때문에 궁핍에 시달리고 있지는 않을까? 오늘은 부에 대해 날카롭고 기묘하면서도 섬뜩할 정도로 설득력 있는 장 자크 루소의 주장을 들어보고, 부에 대한 우리의 생각을 조금이나마 교정해 보자. 부에 대한 루소의 주장 물론 나는 루소의 (1754)을 직접 읽어 보진 못했다. 다만 그의 주장에 대해 소개하는 알랭 드 보통의 에 실린 내용을 보고 파악할 뿐이다. 결국 알랭 드 보통이 이해하는 루소의 주장을 옮길 뿐이다. 루소에 따르면, 부는 많은 것을 소유하는 것과는 관련이 없다. 그렇다면 부는 무엇인.. 2024. 2. 21.
우리를 괴롭히는 속물근성의 정체 (알랭 드 보통, 불안) 속물근성, 나와는 상관없는 단어일까? 나와 당신이 겪는 두려움의 상당 부분이 속물근성 때문이라는 것에 동의할 수 있는가? 당신도 속물근성의 피해자다. 지금 부정할지라도 이 글을 읽고 나면 인정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우리들의 두려움의 근저에 있는 속물근성의 정체를 파해쳐 보자. 어른이 된다는 것의 의미어른이 된다는 것은 무슨 의미일까? 어렸을 때는 그냥 존재하는 것만으로도 무조건적인 애정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어른이 되었을 때는 매우 조건적인 관심을 받게 된다. 다시 말하면 우리의 지위에 따라 차별적인 관심과 애정을 받게 된다는 것이다. 알랭 드 보통은 우리가 인간이 된다는 것은, "냉담한 인물들, 속물들이 지배하는 세계에서 우리 자리를 차지한다는 의미이다."라고 말한다. 이런 속물들의 행동 속에서 .. 2024. 2. 19.
우리는 왜 높은 지위를 갈망할까? 우리는 왜 높은 지위를 얻고자 할까? 어떤 동기에서 우리는 높은 지위에 오르고자 하는가? 의 저자 알랭 드 보통에게서 그 이유를 들어보자. 일반적 가정높은 지위를 얻고자 하는 일반적인 가정으로는 돈, 명성, 영향력에 대한 갈망을 들 수 있다. 우리는 의식주가 확보된 뒤에도 사회적 위계질서 상 더 높은 곳으로 올라가기를 바란다. 왜 그럴까? 알랭 드 보통은 그곳에서 물질이나 권력보다는 사랑을 더 많이 받을 수 있기 때문인지 모른다고 말한다. "돈, 명성, 영향력"은 그 자체로 목적이 아니라 사랑의 상징 내지는 사랑을 얻을 수 있는 수단으로 중시된다는 것이다. 세상으로부터 받기 원하는 사랑부모나 애인에게서 원하는 "사랑"을 세상에게서 원하는 것이다. 사랑은 일종의 존중의 표현이다. 한 사람이 다른 사람의 존.. 2024. 2. 17.
[추천도서] 불안(Status Anziety) - 알랭 드 보통 알랭 드 보통 Alain de Botton 알랭 드 보통은 1969년 스위스 취리히 태생이다.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역사학을 전공했고, 킹스칼리지런던에서 철학 석사를 받았다. 그 뒤 하버드에서 철학 박사 과정을 밟던 중 작가로서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23세에 첫 소설 를 발표했으며, , , 등으로 수많은 독자들을 매료시켰다. 일상의 철학자 그의 소설들의 독특성은 철학 에세이와 픽션이 절묘하게 조합되어 있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이 시대의 스탕달', '닥터 러브'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다. 알랭 드 보통은 철학이 필요한 삶의 여러 영역들에 대해서도 폭넓은 통찰을 갖고 있다. 그러한 통찰을 우리는 그의 책 , , , , , , 등에서 엿볼 수 있다. 이러한 책들은 그에게 세계적 명성과 함께 '일상의 철학자'.. 2024. 2. 17.
사람들에게 호감을 얻는 6가지 방법 - 데일 카네기 인간관계론 우리는 어떻게 사람들에게 호감을 얻을 수 있을까? "이렇게 하면 어디서든 환영받을 것이다"라고 데일 카네기는 말한다. 과연 어떻게 하면 될까? 1. 상대방에게 진심으로 관심을 가져라 "당신이 먼저 다른 사람에게 관심을 보이지 않는데, 다른 사람이 당신에게 관심을 가져야 할 이유가 있을까?"라고 카네기는 묻는다. 다른 사람에게 관심이 없는 사람은 인생에서 가장 큰 어려움을 겪고, 다른 사람에게 가장 큰 상처를 준다. 모든 인간의 실패는 그런 부류의 사람에게서 발생한다. 다른 사람들의 문제에 깊은 관심을 가지는 태도가 필요하다. 친구를 만들고 싶다면 타인을 위해 시간, 노력, 이해심, 배려가 필요한 무언가를 해주고자 헌신해야 한다. 2. 미소를 지어라 좋은 첫인상을 남기는 간단한 방법은 무엇일까? 그것은 바.. 2024. 2.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