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랭 드 보통 Alain de Botton
알랭 드 보통은 1969년 스위스 취리히 태생이다.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역사학을 전공했고, 킹스칼리지런던에서 철학 석사를 받았다. 그 뒤 하버드에서 철학 박사 과정을 밟던 중 작가로서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23세에 첫 소설 <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 Essays in Love>를 발표했으며, <우리는 사랑일까 The Romantic Movement>, <키스 앤 텔 Kiss and Tell>, <낭만적 연애와 그 후의 일상 The Course of Love> 등으로 수많은 독자들을 매료시켰다.
일상의 철학자
그의 소설들의 독특성은 철학 에세이와 픽션이 절묘하게 조합되어 있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이 시대의 스탕달', '닥터 러브'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다. 알랭 드 보통은 철학이 필요한 삶의 여러 영역들에 대해서도 폭넓은 통찰을 갖고 있다. 그러한 통찰을 우리는 그의 책 <프루스트가 우리의 삶을 바꾸는 방법들>, <철학의 위안>, <여행의 기술>, <불안>, <행복의 건축>, <일의 기쁨과 슬픔>, <뉴스의 시대> 등에서 엿볼 수 있다. 이러한 책들은 그에게 세계적 명성과 함께 '일상의 철학자'라는 수식어를 안겨주었다. 그는 실생활을 위한 철학을 지향하는 '인생 학교'를 설립해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으며, 2003년 프랑스 문화부 장관으로부터 기사 작위를 받기도 하였다.
불안 Status Anziety
오늘은 그의 책 가운데 <불안>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알랭 드 보통이 이 책에서 말하는 "불안"은 "지위로 인한 불안"을 뜻한다.
지위
"지위"는 신분이라는 뜻의 라틴어 statum에서 파생된 단어인데, 좁은 의미로는 한 집단 내의 법적 또는 직업적 신분을 가리킨다. 그러나 넓은 의미로는 세상의 눈으로 본 사람의 가치나 중요성을 가리키며, 이 책에서는 이 의미가 더 중요하다. 또한 서양에서는 1776년 이후 경제적 성취와 관련하여 지위가 부여되기 시작하였다.
높은 지위는 즐거운 결과를 낳는다. 즉 자원, 자유, 공간, 안락, 시간, 남들에게 먼저 배려받고 귀중하게 여겨지는 느낌 등이다. 높은 지위를 세상에서 얻을 수 있는 가장 좋은 것으로 꼽는 사람들도 많다.
지위로 인한 불안
우리는 왜 지위에 그렇게 많은 관심을 가질까? 그것은 다른 사람들이 우리를 어떻게 보느냐가 우리의 자아상을 결정하기 때문이다. 만약 우리가 사회에서 제시한 성공의 이상에 부응하지 못하는 위험에 처한다면 어떻게 될까? 존엄을 잃고 존중받지 못할지도 모른다는 걱정에 휩싸이게 된다. 이런 걱정은 독성이 강해 생활의 광범위한 영역에 있어 기능을 마비시킬 수 있다. 이러한 불안은 불황이나 실업, 승진, 퇴직, 업계 동료와 나누는 대화, 성공을 거둔 걸출한 친구에 관한 신문 기사 등으로 유발되기도 한다.
이러한 불안은 겉으로는 잘 드러나지 않는다. 다만 어디에 몰두한 듯한 눈길, 부서질 것 같은 미소, 다른 사람의 성공 소식을 들은 뒤 이어지는 유난히 긴 침묵 등으로 간간이 비쳐질 뿐이다.
'지위에 대한 갈망'은 다른 모든 욕구와 마찬가지로 쓸모가 있다. 남들보다 나아지도록 고무한다. 그러나 모든 욕구가 그러하듯, 지위에 대한 갈망도 지나치면 사람을 잡는다. 높은 지위는 얻기 어려우며, 오랫동안 유지하는 것 또한 더욱 어렵다. 신분제 사회가 아닌 이상 지위는 우리의 성취에 달려 있다. 그러나 우리는 여러 요인으로 인해 실패할 수 있다. 그런데 이 실패는 우리에게 굴욕감을 안겨준다. 성공한 사람들을 씁쓸하게 바라보는 동시에 우리 자신을 부끄러워하는 괴로운 상태에 빠진다.
우리는 이 불안을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알랭 드 보통은 <불안>이라는 책에서 불안의 원인과 해법을 제시한다.
불안의 원인
- 사랑결핍
- 속물근성
- 기대
- 능력주의
- 불확실성
해법
- 철학
- 예술
- 정치
- 기독교
- 보헤미아
나가며
당신은 현재 어떤 불안 상태에 있는가? 그 원인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그리고 그것을 어떻게 해결하고 있는가? 만약 아직도 그 불안을 해결하고 있지 못하다면 알랭 드 보통의 <불안>을 읽어보기를 추천한다. 나에게도 나를 괴롭히는 불안이 있다. 나도 이 책에서 그 해결책을 찾고 싶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2024.02.07 - [추천도서 이야기] - [추천도서] 데일 카네기 인간관계론
[추천도서] 데일 카네기 인간관계론
데일 카네기(Dale Carnegie) 데일 카네기는 '인간관계를 발명한 사람'으로 불리는 미국의 작가이자 강사이다. 비즈니스, 대중연설, 인간관계 등에 관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했으며, 1936년에 을 출간
2ssue2ssue.tistory.com
2023.09.14 - [문학과 철학 이야기] - [서평] 달과 6펜스 (서머싯 몸) - 나는 무엇에 사로잡혀 있는가?
[서평] 달과 6펜스 (서머싯 몸) - 나는 무엇에 사로잡혀 있는가?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시리즈 중 하나인 서머싯 몸의 역작 를 읽었다.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난 이듬해인 1919년에 출판된 장편 소설이다. 서머싯 몸은 1차 세계대전 중 정보원으로 활동했는데, 과로
2ssue2ssue.tistory.com
'추천도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람들에게 호감을 얻는 6가지 방법 - 데일 카네기 인간관계론 (1) | 2024.02.10 |
---|---|
인간관계 핵심기술 (사람을 대하는 기본 기술) ; 데일 카네기 인간관계론 (1) | 2024.02.08 |
[추천도서] 데일 카네기 인간관계론 (3) | 2024.02.07 |
무언가에 올인(All-IN)하고 싶다면 [전념]을 읽어보라(피트 데이비스) (3) | 2023.10.27 |
<레 미제라블>의 핵심 줄거리와 시대적 배경 (8) | 2023.1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