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도서 이야기

인간관계 핵심기술 (사람을 대하는 기본 기술) ; 데일 카네기 인간관계론

by 박노찬 2024. 2. 8.
반응형

성공적인 인간관계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 무엇을 해야 하고 무엇을 하지 말아야 할까? 가장 단순하면서도 기본적인 기술만 익혀도 우리는 좋은 인간관계를 맺고 그로 인해 유발되는 부차적인 좋은 열매들을 맺을 수 있을 텐데 우리는 그 간단한 것을 무시하고 인간관계에 실패하는 것 같다. 과연 인간관계에 있어 가장 핵심적인 기술은 무엇일까? 

사진-사람을 대하는 기본 기술
사람을 대하는 기본 기술 (데일 카네기 인간관계론)

사람을 대하는 기본 기술

1. 비난은 금물이다 - 비난의 역효과

이 핵심기술에 대해 데일 카네기는 "사람을 대하는 기본 기술"이라고 하였다. 카네기가 말하는 첫번째 핵심 기술은, 비난을 하지 않는 것이다. 비난은 쓸데 없는 짓이고, 어리석은 짓이다. 왜 그럴까? 비난은 사람을 방어적으로 만들고, 자신을 정당화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도록 만들기 때문이다.

 

당신은 어떠한가? 누군가로부터 비난의 소리를 들을 때 바로 그 비난을 인정하고 자신의 잘못을 수정하려 하는가, 아니면 곧바로 방어기제가 작동해 변명거리를 찾는가? 답은 하지 않아도 된다. 뻔하기 때문이다. 그런데도 우리는 남을 비난하는 일을 서슴없이 한다.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비난은 자존심에 상처를 주고, 자존감을 떨어뜨리며, 원한만 불러일으키게 된다. 왜 그럴까? 그것은 인간의 본성 때문이다. 잘못을 저지르고도 남을 탓하지 자신을 탓하지 않는 것이 우리의 본성이기 때문이다. 

반응형

예수님의 말씀이 생각난다. "비판을 받지 아니하려거든 비판하지 말라. 너희가 비판하는 그 비판으로 너희가 비판을 받을 것이요, 너희가 헤아리는 그 헤아림으로 너희가 헤아림을 받을 것이니라.(마태복음 7장 1-2절)"

 

카네기는 우리가 사람을 대할 때 상대가 논리적인 존재가 아니라는 점을 기억하라고 말한다. 우리가 상대하는 사람들은 감정적이고, 편견으로 가득 차 있으며, 자존심과 허영으로 움직이는 존재이다. 또한 비난은 자존심이라는 화약고를 터뜨릴 수 있는 불씨와 같다. 그 폭발이 때로는 누군가를 죽음으로 몰고 가기도 하고, 최고의 소설가로 하여금 더 이상 소설을 쓰지 못하게 할 수 도 있다. 

 

토머스 칼라일은 "위대한 사람은 평범한 사람을 대하는 방식으로 자신의 위대함을 드러낸다"고 하였다. 사람을 비난하는 대신 그들을 이해하려고 노력해 보자. 그들이 왜 그런 행동을 하는지 곰곰이 생각해 보자. 그렇게 하면 그 과정에서 동정심, 관용, 친절한 마음 등이 싹트게 된다. 모든 것을 알면 모든 것을 용서하게 된다. 새뮤얼 존슨은 "신께서도 사람을 죽기 전까지는 심판하시지 않는다"라고 하였다. 하물며 우리가 그래서야 되겠는가? 

사진-사람을 대하는 기본 기술
사람을 대하는 기본 기술 (데일 카네기 인간관계론)

2. 인정받고자 하는 갈망을 이해하라

누군가에게 어떤 일을 기꺼이 하게 만드는 방법은 무엇일까? 카네기는 "상대방이 그 일을 하고 싶게 만드는 것"이라고 말한다. 강제적인 방법은 역효과만 낼 뿐이다. 그 사람이 원하는 것을 주는 방법 밖에 없다.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우리가 하는 모든 행동이 '성적 욕망'과 '위대해지고 싶은 욕망', 그 2가지 동기에서 비롯된다고 하였다. 또한 미국의 위대한 철학자 존 듀이는 인간 본성이 지닌 가장 깊은 충동은 바로 "중요한 사람이 되고자 하는 욕망"이라고 하였다. 윌리엄 제임스는 "인간 본성의 가장 심오한 원칙은 인정받고자 하는 갈망이다"라고 했다. 

 

심지어 현실에서 자신이 중요하다는 느낌을 받지 못하는 사람들은 환상 속에서라도 그 느낌을 받고 싶어 실제로 정신 질환자가 되기도 한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뇌 손상, 알콜 중독, 독성 물질, 외상과 같은 물리적 요인에 의해 정신질환이 생기기도 하지만, 충격적 이게도 절반 가량은 현실에서 얻지 못하는 자신이 중요하다는 느낌을 정신 질환 상태에서 얻는다고 한다. 

 

따라서 상대방이 중요한 사람이라는 인정과 격려만큼 사람의 열정을 불러일으키는 것은 없으며, 질책만큼 의욕을 떨어뜨리는 것도 없다는 사실을 기억하면 좋겠다. 사람들에게 필요한 것은 비난과 질책이 아니라, 자존감을 채워주는 마음의 양식이다. 누군가를 비난하고 싶을 때, 칭찬거리를 찾아보자. 이것이 카네기가 말하는 새로운 삶의 방식이다. 이것이 카네기의 인간관계론의 핵심기술이다. 

3. 다른 사람의 관점을 이해하고, 다른 사람의 관점으로 바라보라

물고기를 잡으려면 물고기가 좋아하는 미끼를 사용해야 한다. 내가 좋아하는 미끼를 사용하면 물고기를 잡지 못한다. 그런데 우리는 인간 관계에서 왜 자신이 원하는 것을 이야기할까? 그것은 어리석은 행동이다. 다른 사람은 내가 원하는 것에 관심이 없기 때문이다. 그들은 나와 마찬가지로 자신이 원하는 것에만 관심이 있다. 

 

따라서 상대방에게 영향을 미치는 세상에서 유일한 방법은, 그 사람이 원하는 것을 이야기하고, 이를 얻는 방법을 보여주는 것이다. 인간의 행동은 기본적으로 욕구에서 비롯된다. 그래서 상대방의 마음에 간절한 열망을 일으켜야 한다. 이 일을 해내는 사람은 세상을 얻을 것이고, 그렇지 못한 사람은 외로운 길을 걸을 것이다. 

 

헨리 포드는 "성공의 비결이 있다면, 그것은 다른 사람의 관점을 이해하고, 다른 사람의 관점으로 바라보는 능력에 달려 있다."고 말했다. 다른 사람의 관점을 이해하고, 다른 사람의 관점으로 바라보는 능력, 그것을 키울 수 있다면 그것이 우리의 인생에서 큰 이정표가 될 것이다. 

나가며

인간관계의 핵심 기술은 단순히 말하는 기술을 습득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먼저 사람의 본성에 대한 깊은 이해로부터 출발한다. 인간은 감정의 동물이며, 자존심에 목숨을 거는 존재이고, 자신이 중요한 사람이라는 인정과 칭찬을 받기 원하고, 그러한 자존감이 충족되는 일을 기꺼이 하고자 하는 존재라는 사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자존심에 상처를 주는 말과 행동을 해서는 안되며, 상대의 관점을 이해하고, 상대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능력을 키우는 것이 성공적인 인간관계의 시작점이자, 핵심 기술임을 기억하자!

 

<<참고 문헌>>

<데일 카네기 인간관계론>, 상상스퀘어, 2023

 

<<함께 읽으면 좋은 글>>

2024.02.07 - [추천도서 이야기] - [추천도서] 데일 카네기 인간관계론

 

[추천도서] 데일 카네기 인간관계론

데일 카네기(Dale Carnegie) 데일 카네기는 '인간관계를 발명한 사람'으로 불리는 미국의 작가이자 강사이다. 비즈니스, 대중연설, 인간관계 등에 관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했으며, 1936년에 을 출간

2ssue2ssue.tistory.com

2023.05.13 - [문학과 철학 이야기] - 마음의 눈을 뜨면 세상이 달리 보인다

 

마음의 눈을 뜨면 세상이 달리 보인다

우리에게는 두 가지 눈이 있다는 것을 아십니까? 육신의 눈과 마음의 눈입니다. 육신의 눈으로만 보면, 세상이 어둡고 힘겹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마음의 눈을 뜨면 육신의 눈이 볼 수 없는 것

2ssue2ssue.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