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199 [주식투자] 반전일과 가격갭의 3가지 형태 오늘은 주식시장의 가격움직임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는 반전일과 가격갭의 3가지 형태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반전일 반전일은 고점이나 저점에서 발생합니다. 고점반전일 고점반전일은 같은 날 가격이 하락하여 종가로 마감되기에 앞서 상승추세에서 새로운 고점을 형성하는 것을 말합니다. 다시 말해, 가격은 하룻 동안의 어떤 시점에서 상승추세의 새로운 고점을 형성하고는 약해져서 실제로는 전날의 종가보다 약간 낮은 가격에서 마감됩니다. 이때 고점은 보통 개장 시점이나 개장 직후가 됩니다. 저점반전일 반대로 저점반전일은 그날의 가격이 보다 상승한 종가로 마감하기에 앞서 형성되는 새로운 저점을 말합니다. 저점반전일은 '매도절정'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이것은 매수포지션에 있는 실망한 거래자들이 마침내 청산하고 시장에서 대.. 2023. 6. 11. [주식투자] 추세전환 징후와 추세강화 신호 파악하기 오늘은 매수, 매도의 적절한 타이밍을 잡기 위한 기술적 분석 기법에 대해 배워보고자 합니다. 오늘의 포인트는 추세전환의 징후와 추세강화의 신호를 파악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먼저 추세선 기법의 파생기법이라 할 수 있는 경로선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합니다. 경로선(Channel line) 경로선은 복귀선(return line)이라고도 불리며, 추세선 기법의 또 다른 유용한 파생기법입니다. 가격은 종종 두 평행선, 즉 기본 추세선과 경로선 사이에서 추세를 이룹니다. 그림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습니다. 경로선의 작성은 비교적 간단합니다. 그림 4-16a를 보면, 상승추세에서 첫 번째 저점을 따라 기본 상승 추세선을 그립니다. 그런 다음 첫 번째 봉우리(점 2)에서 기본 상승추세선에 평행하게 점선을 그립니.. 2023. 6. 6. [주식투자 기본상식] 추세선 - 추세선을 활용해 수익 내는 방법 오늘은 기술적 분석의 가장 단순하고도 중요한 추세선을 활용해 수익 내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추세선 기본 추세선은 기술적 분석의 가장 단순한 도구인 동시에 가장 가치 있는 도구 중 하나입니다. 아래 그림 4-6a가 보여주듯이 상승추세선은 일련의 연속적인 저점들을 연결한 우상향의 직선이고, 하락추세선은 4-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속적인 고점들을 연결한 우하향의 직선입니다. 추세선 그리기 정확한 추세선을 찾으려면 필요한 지침이 있습니다. 반드시 추세에 대한 증거가 있어야 하는데, 추세선을 그리기 위해서는 적어도 2개의 저점이 있어야 합니다. 또한 2번째 저점은 첫 번째 것보다 높아야 합니다. 일단 2개의 상승 저점이 발견되면 두 저점을 연결하는 우상향 직선을 그릴 수 있습니다. 유효한 추세선 그러.. 2023. 6. 6. [주식투자 기본상식] 추세 및 지지와 저항 오늘은 주식투자의 기본 상식이라 할 수 있는 추세 및 지지와 저항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추세, 지지, 저항에 대해 이해한다면, 주식투자가 훨씬 더 쉬워질 것입니다. 추세의 정의 추세의 개념은 시장을 기술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어서 필수적인 개념입니다. 일반적으로 추세는 시장이 어디로 움직이고 있는가 하는 단순한 시장방향입니다. 그러나 보다 정확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일반적으로 시장은 어떤 방향이든 일직선으로 움직이지 않고, 지그재그식으로 움직입니다. 이런 지그재그 모양은 비교적 선명한 봉우리와 골짜기를 가진 일련의 연속적인 파동을 닮습니다. 이러한 봉우리들과 골짜기들은 위, 아래, 옆으로 움직이면서 시장의 추세를 알려줍니다. 상승추세는 높아지는 일련의 연속적인 봉우리들과 골짜기들로 정의되고, 하락추세는 .. 2023. 6. 6. 다우지수와 다우이론의 6가지 기본원리 오늘은 기술적 분석의 초석이 된 찰스 다우(Charlse Dow)가 제시한 "다우이론의 6가지 기본원리"에 대해 정리해 볼까 합니다. 다우 지수 찰스 다우는 1884년 7월 3일 9개 철도회사와 2개 제조회사로 구성된 11개 주식의 종가 평균을 발표하였습니다. 당시는 이 11개 주식이 미국의 경기를 나타내는 훌륭한 지표로 받아들여졌습니다. 그러나 1897년에는 두 별개의 다른 지표가 경기를 더 잘 나타낼 것으로 판단해 12 주식 공업지수와 20 주식 철도지수를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공업지수는 1928년에 이르러 오늘날과 같이 30 주식을 포함한 것으로 성장하였습니다. 편집장은 그 이듬해인 1929년에 유틸리티 지수(Utility Index)를 추가하여 여러 차례에 걸쳐 공업지수의 주식목록을 수정합니다. .. 2023. 6. 6. 금융시장의 기술적 분석과 배경철학(존 J. 머피) 오늘은 금융시장의 기술적 분석의 정의와 기술적 분석의 기초가 되는 배경 철학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어떤 이는 기술적 분석의 필요성에 의문을 제기하기도 하고, '바이 앤 홀드' 전략이 최선이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기술적 분석과 그 철학에 대해 공부한다면, 기술적 분석의 필요성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고, 기술적 분석을 투자에 적용한다면 좀 더 확신을 갖고 투자할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본 포스팅의 내용은 존 J. 머피의 을 주로 다루었음을 밝힙니다. 금융시장의 기술적 분석이란? 존 J. 머피는 기술적 분석의 정의를 다음과 같이 내립니다. "기술적 분석은 미래의 가격추세를 예측할 목적으로 주로 차트를 사용하여 시장의 움직임을 연구하는 것이다." 여기서 '시장 움직임'은 기술적 분석에 이용할 .. 2023. 6. 5.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 3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