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와 투자 이야기

금융시장의 기술적 분석과 배경철학(존 J. 머피)

by 박노찬 2023. 6. 5.
반응형

오늘은 금융시장의 기술적 분석의 정의와 기술적 분석의 기초가 되는 배경 철학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어떤 이는 기술적 분석의 필요성에 의문을 제기하기도 하고, '바이 앤 홀드' 전략이 최선이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기술적 분석과 그 철학에 대해 공부한다면, 기술적 분석의 필요성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고, 기술적 분석을 투자에 적용한다면 좀 더 확신을 갖고 투자할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본 포스팅의 내용은 존 J. 머피의 <금융시장의 기술적 분석>을 주로 다루었음을 밝힙니다. 

썸네일-금융시장의기술적분석과배경철학
금융시장의 기술적 분석과 배경철학

금융시장의 기술적 분석이란? 

존 J. 머피는 기술적 분석의 정의를 다음과 같이 내립니다.

 

"기술적 분석은 미래의 가격추세를 예측할 목적으로 주로 차트를 사용하여 시장의 움직임을 연구하는 것이다."

 

여기서 '시장 움직임'은 기술적 분석에 이용할 수 있는 3가지 주된 정보, 즉 '가격, 거래량, 미결제약정수량'을 포함합니다. 또 '시장 움직임'은 '가격 움직임'과 같은 의미로 사용됩니다. 

 

기술적 분석의 배경철학 및 이론적 근거

기술적 분석의 토대가 되는 3가지 전제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1. 시장 움직임은 모든 것을 반영한다.

2. 가격 움직임은 추세를 이룬다.

3. 역사는 스스로 반복된다.

반응형

1. 시장 움직임은 모든 것을 반영한다

'시장 움직임은 모든 것을 반영한다'는 말은 기술적 분석의 가장 중요한 토대라 할 수 있습니다. 기술적 분석가들은 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은 실제로 시장가격에 모두 반영된다고 믿습니다. 따라서 기술적 분석에 필요한 모든 것은 가격 움직임에 대한 연구라는 결론이 나옵니다.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면 가격은 반드시 상승합니다. 반대로 공급이 수요를 초과하면 가격은 반드시 하락합니다. 대부분의 기술적 분석가들은 시장을 약세 또는 강세로 만드는 것이 시장경제의 기본원리인 수요와 공급의 기본적인 힘이라는 데 동의합니다. 

 

차트는 그 자체가 시장의 상승 또는 하락을 유발하는 원인이 아닙니다. 그것은 단순히 시장의 강세심리와 약세심리를 반영할 뿐입니다. 일반적으로 차트 분석가들은 가격상승 또는 하락의 원인에는 신경 쓰지 않습니다. 

 

종종 가격추세의 초기 단계에서나 매우 중요한 전환점에서 시장이 왜 어떤 특정한 방향으로 움직이는지 그 이유를 정확히 아는 사람은 없는 것 같습니다. 이 때 기술적 분석가들은 가격 변동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힘쓰기보다는 가격 추세의 변화에 더 신경을 씁니다. 왜냐하면 시장이 강세 또는 약세로 바뀌는 데에는 어떤 이유가 있다고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 가격에 모든 것이 반영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2. 가격 움직임은 추세를 이룬다

'추세'라는 것은 기술적 분석에 있어서 필수적입니다. 시장의 가격움직임을 차트로 나타내는 목적은, 그러한 추세의 방향으로 거래하기 위해 추세발전의 초기 단계에서 이를 파악하기 위함입니다. 

 

'가격움직임이 추세를 이룬다'는 것은 '움직이는 추세는 추세를 역행하기보다 현재의 추세를 계속 유지하려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시 말하면, '어떤 추세는 전환하기까지는 같은 방향으로 계속 움직이려 한다'는 것입니다. 

 

3. 역사는 스스로 반복한다

또한 이러한 추세는 거의 순환적으로 나타납니다. 따라서 미래를 이해하는 열쇠는 과거의 연구에 놓여 있습니다. 미래는 과거의 반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기술적 분석에 대한 비판에 대한 해명

기술적 분석에 대한 대표적인 비판은, 과거의 가격자료를 미래의 가격방향 예측에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가 하는 것입니다. 차트는 현재까지의 시장움직임을 보여줄 뿐, 앞으로 어떻게 될 것인지는 알려주지는 않지 않느냐는 것입니다. 특히 랜덤워크이론은 가격이 추세를 이루는가 하는 문제와, '매수 후 계속 보유(buy and hold)'라는 단순한 전략을 예측기법이 이길 수 있는가 하는 의문을 제기합니다. 

 

이러한 질문에 대해 존 J. 머피는 해명할 가치가 있다고 말합니다. 일기예보를 포함하여 알려진 모든 예측방법들은 모두 과거자료에 대한 연구에 의존하고 있는데, 왜 금융시장을 예측하는 데에는 과거자료를 사용할 수 없는가라고 반문합니다. 기술적 분석에서 미래를 예측하기 위해 과거의 가격자료를 이용하는 것은 튼튼한 통계적 개념에 근거하고 있는 것이라 주장합니다. 

 

랜덤워크이론에 대한 비판

랜덤워크이론에 따르면, 가격의 변화는 '연속 독립적'이며, 과거의 자료는 미래가격의 향방에 신뢰할 만한 지표가 되지 못한다고 합니다. 즉 가격 움직임은 무작위적이고 무예측적이며, 가격은 내재가치를 기준으로 무작위적으로 등락한다는 효율적 시장가설에 바탕을 두고 있습니다. 따라서 '시장추월' 전략보다는 '단순 매수보유'전략이 최선임을 말합니다. 

 

그러나 존 J. 머피는 모든 가격움직임이 무작위적이라고 믿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다고 말합니다. 가격움직임의 체계적인 패턴을 밝혀낼 수 없는 것은 무능력한 것이지, 그러한 패턴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증명하지는 못한다는 것입니다. 또 어제나 지난주에 일어났던 일들이 오늘이나 내일 일어날 일들에 영향을 주지 않고 가격이 연속해서 독립적으로 움직인다면 어떻게 추세의 지속을 '랜덤워크이론'으로 설명할 수 있는가라고 반박합니다.

 

만약 시장이 정말로 무작위적으로 움직인다면 어떠한 예측기법도 통하지 않을 것입니다. 기술적 분석가들은 중요한 시장 정보는 알려지기 이전에 이미 시장가격에 반영된다는 것을 토대로 예측을 합니다. 차트 분석기술의 향상에 따라 무작위성의 환영은 점차 사라지고 있다고 합니다. 

 

나가며

랜덤워크이론에 관한 책을 읽으면 그 이론이 맞는 것 같고, 기술적 분석에 관한 책을 읽으면 이 또한 맞는 것 같습니다. 문제는 투자자들의 믿음과 적용의 문제인 것 같습니다. '바이 앤 홀드' 전략을 주로 사용한다고 해도 매수 타이밍에 대한 결정을 위해서는 일정부분 차트분석을 포함한 기술적 분석이 필요할 것이며, 기술적 분석을 주요 투자전략으로 사용하는 투자자라 할지라도 기업과 시장에 대한 기본적 분석을 가미한다면 훨씬 더 좋은 수익을 얻게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입니다. 

 

저 역시 주로 '바이 앤 홀드' 전략을 사용하고 있지만, 오늘 배운 내용에서 와 닿는 면이 있습니다. '가격은 모든 것을 반영한다'는 것입니다. 가격변동이 주는 신호를 잘 파악할 수 있다면 보다 효과적인 투자를 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그래서 기술적 분석에 대해 좀 더 체계적인 공부를 더 하고, 그 결과를 포스팅해 볼까 합니다. 

 

<<참고문헌>>

존 J. 머피, <금융시장의 기술적 분석>

 

<<함께 읽으면 좋은 글>>

 

버블, 기회의 시그널 (알레스데어 네언 저, 2022) - 책 소개

"과도한 유동성과 부채가 가져올 시장의 충격" 2022년 우리는 버블 붕괴의 현장에 있습니다. 코로나 팬데믹 발생 이후 2020년과 2021년은 주가의 고공행진의 시기였습니다. 어디까지 오를지 끝을 모

2ssue2ssue.tistory.com

 

 

랜덤워크 투자수업 (버턴 말킬 저) - 책 소개

이 책은 45년간 12번이나 개정된 책입니다. 버턴 말킬은 자신의 최초의 메시지가 여전히 유효하다고 합니다. 그런데 왜 또 개정판을 낸 것일까요? 그것은 우리가 수익을 올릴 수 있는 새롭게 등장

2ssue2ssue.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