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와 투자 이야기

[주식투자 기본상식] 추세 및 지지와 저항

by 박노찬 2023. 6. 6.
반응형

오늘은 주식투자의 기본 상식이라 할 수 있는 추세 및 지지와 저항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추세, 지지, 저항에 대해 이해한다면, 주식투자가 훨씬 더 쉬워질 것입니다. 

그림-추세및지지와저항
추세 및 지지와 저항

추세의 정의

추세의 개념은 시장을 기술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어서 필수적인 개념입니다. 일반적으로 추세는 시장이 어디로 움직이고 있는가 하는 단순한 시장방향입니다. 그러나 보다 정확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일반적으로 시장은 어떤 방향이든 일직선으로 움직이지 않고, 지그재그식으로 움직입니다. 이런 지그재그 모양은 비교적 선명한 봉우리와 골짜기를 가진 일련의 연속적인 파동을 닮습니다. 이러한 봉우리들과 골짜기들은 위, 아래, 옆으로 움직이면서 시장의 추세를 알려줍니다. 

 

상승추세는 높아지는 일련의 연속적인 봉우리들과 골짜기들로 정의되고, 하락추세는 그와 반대로 일련의 하락하는 봉우리들과 골짜기들로 정의됩니다. 수평적인 봉우리들과 골짜기들은 수평방향의 가격추세를 나타냅니다. 

사진-추세의3가지예
추세의 기본 개념

추세는 세 방향을 갖는다

시장은 상승, 하락, 수평이라는 세 방향으로 움직입니다. 투자자들은 특히 수평방향에 유의해야 합니다. 적어도 세 번에 한 번 정도는 수평으로 움직입니다. 이것은 공급과 수요가 균형을 이루는 가격균형상태를 반영합니다. 이런 움직임은 '비추세'라 부르기도 합니다. 

 

상승추세에서는 매수전략이 유리하고, 하락추세에서는 매도가 올바른 접근법이며, 수평으로 움직일 때는 관망이 현명합니다. 

반응형

추세는 세 분류로 나뉜다

추세는 세 방향 외에 세 분류로 나뉩니다. 주추세, 중추세, 소추세(단기추세)가 그것입니다. 이런 세 추세는 몇 분 또는 몇 시간의 단기추세로부터 50~100년에 이르는 매우 긴 장기추세에 이르기까지 무수한 추세들이 상호작용하며 존재합니다. 또한 각각의 추세는 자기보다 한 단계 장기인 추세의 일부가 됩니다. 예로, 중추세는 주추세의 조정이 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추세의존 투자자들은 몇 개월간 지속되는 중추세에 초점을 맞춥니다. 소추세는 주로 매수시점 선택의 목적으로 이용합니다. 상승추세에서의 단기하락은 매수기회로 이용될 수 있습니다. 

 

지지와 저항

가격은 일련의 봉우들과 골짜기들을 따라 움직이며, 이 봉우리들과 골짜기들의 방향이 시장의 추세를 결정합니다. 이때 골짜기 혹은 반응 저점을 '지지'라고 부릅니다. 이것은 매수세가 매도세를 능가하는 영역을 나타내며, 이 때를 기점으로 가격이 하락을 멈추고 상승으로 돌아섭니다. 일반적으로 지지의 수준은 직전 저점에 의해 사전에 알 수 있습니다. 그림 4-3a의 점 2와 4가 상승추세에서의 지지 수준입니다. 

사진-상승추세에서의지지와저항
상승추세에서의 지지와 저항

'저항'은 지지와 반대이며, 매도세가 매수세를 능가하여 가격상승이 반전되는 시장 위쪽의 가격수준이나 영역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저항선은 직전 고점으로 알 수 있습니다. 그림 4-3a의 점 1과 3이 저항 수준입니다. 상승추세에서 지지선과 저항선은 상승패턴을 나타냅니다. 아래의 그림 4-3b는 하락추세에서의 지지와 저항을 보여줍니다. 

그림-하락추세에서의지지와저항
하락추세에서의 지지와 저항

상승추세가 계속되기 위해서는, 각각의 연속적인 저점(지지선)이 직전의 것들보다 반드시 높아야 하며, 각 고점(저항선)도 반드시 직전 고점보다 높아야 합니다. 만약 상승추세에서 조정 하락이 직전 저점까지 내려오면, 상승추세가 끝나가고 있거나 아니면 적어도 상승추세에서 수평추세로 바뀌고 있다는 경고일 수 있습니다. 일단 지지선이 돌파되면 상승에서 하락으로 추세반전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상승추세에서 직전 고점을 갱신하는 데 실패하거나, 하락추세에서 직전 저점을 갱신하지 못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기존의 추세가 변화하고 있다는 것을 알려주는 첫번째 경고입니다. 

그림-추세반전의예
추세반전의 예

그림 4-4a는 전형적인 추세반전을 보여줍니다. 그림에서 점 5는 직전 고점 3을 갱신하는 데 실패하고 뒤이어 직전 저점 4를 갱신하여 상승추세가 하락추세로 반전합니다. 이 추세반전은 단순히 지지와 저항선을 관찰함으로써 알 수 있습니다. 이런 패턴을 '2중 천정형(Double Top)'이라고 부릅니다. 

 

지지와 저항의 역할 변경

지금까지는 직전 저점을 '지지'로, 직전 고점을 '저항'으로 정의하였습니다. 그러나 지지선과 저항선이 많은 가격차로 갱신되면 역할을 서로 바꿉니다. 지지선이 많은 차이로 돌파되면 저항선으로 바뀌고, 저항선이 많은 차이로 돌파되면 지지선이 됩니다. 

그림-지지와저항의역할변경
지지와 저항의 역할 변경

그림 4-5a를 보면, 상승추세에서 점 1의 저항선이 크게 돌파되자, 다음 지지선은 2가 아니라 4로 바뀐 것을 보여줍니다. 반대로 그림 4-5b는 하락추세에서 크게 돌파된 지지선은 다음 상승 시 저항선으로 작용하는 것을 보여줍니다. 

그림-하락추세에서-지지와저항의역할변경
하락추세에서 지지와 저항의 역할 변경

지지선이나 저항선으로부터 가격이 움직이는 거리가 멀수록 지지선이나 저항선의 중요성이 증가합니다. 어느 정도의 돌파가 중요한 돌파인가 하는 것은 투자자 스스로 판단해야 합니다.

 

지지와 저항의 정수(Round Number)

정수에서 가격이 상승이나 하락을 멈추는 경향이 있습니다. 왜냐하면 거래자들은 10, 20, 25, 50, 75, 100과 같은 중요한 정수 단위로 가격목표를 설정하고 거래하려 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이러한 정수는 종종 심리적 지지 또는 저항선으로 작용합니다. 거래자들은 자신이 정한 어떤 정수에 가격이 접근할 때 수익실현을 하려고 합니다. 

 

이 원리를 거래주문에 적용할 때는, 분명한 정수에서 거래주문을 넣는 것은 반드시 피해야 합니다. 상승추세에서 단기 하락을 틈타 매수할 경우에는 중요한 정수 바로 위에 지정가 주문을 넣는 것이 좋습니다. 다른 거래자들은 정수에서 시장가로 매수하려고 하기 때문에 거래가격은 거기에 이르지 못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반대로 일시적 반등을 틈타 매도를 하려는 거래자는 정수 바로 아래에서 대기매도주문을 넣어야 합니다. 

 

추세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통해 성공투자 하시기 바랍니다. 

 

<<참고문헌>>

존 J. 머피, <금융시장의 기술적 분석> 제4장. "추세의 기본 개념"

 

<<함께 읽으면 좋은 글>>

 

금융시장의 기술적 분석과 배경철학(존 J. 머피)

오늘은 금융시장의 기술적 분석의 정의와 기술적 분석의 기초가 되는 배경 철학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어떤 이는 기술적 분석의 필요성에 의문을 제기하기도 하고, '바이 앤 홀드' 전

2ssue2ssue.tistory.com

 

 

다우지수와 다우이론의 6가지 기본원리

오늘은 기술적 분석의 초석이 된 찰스 다우(Charlse Dow)가 제시한 "다우이론의 6가지 기본원리"에 대해 정리해 볼까 합니다. 다우 지수 찰스 다우는 1884년 7월 3일 9개 철도회사와 2개 제조회사로 구

2ssue2ssue.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