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와 투자 이야기

다우지수와 다우이론의 6가지 기본원리

by 박노찬 2023. 6. 6.
반응형

오늘은 기술적 분석의 초석이 된 찰스 다우(Charlse Dow)가 제시한 "다우이론의 6가지 기본원리"에 대해 정리해 볼까 합니다. 

 

썸네일-다우이론의6가지기본원리
다우지수와 다우이론의 6가지 기본원리

다우 지수

찰스 다우는 1884년 7월 3일 9개 철도회사와 2개 제조회사로 구성된 11개 주식의 종가 평균을 발표하였습니다. 당시는 이 11개 주식이 미국의 경기를 나타내는 훌륭한 지표로 받아들여졌습니다. 그러나 1897년에는 두 별개의 다른 지표가 경기를 더 잘 나타낼 것으로 판단해 12 주식 공업지수와 20 주식 철도지수를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공업지수는 1928년에 이르러 오늘날과 같이 30 주식을 포함한 것으로 성장하였습니다. <월스트리트 저널> 편집장은 그 이듬해인 1929년에 유틸리티 지수(Utility Index)를 추가하여 여러 차례에 걸쳐 공업지수의 주식목록을 수정합니다.

 

주식시장 움직임의 선도지표의 전형으로 간주되는 다우 지수는 오늘날에도 시장 분석가들에게 필수적인 도구로 남아 있습니다. 그러나 다우는 그의 이론을 정리한 책을 한 권도 쓰지 않았습니다. 다만 <월스트리트 저널>에 시리즈로 기고한 것을 그가 죽은 이듬해인 1903년에 넬슨이 <주식투자의 기본>이라는 책을 만들었는데, 이 책에서 넬슨이 처음으로 '다우이론'이라는 용어를 사용합니다.

 

리처드 러셀은 주식시장이론에 대한 다우의 기여를 심리학에 대한 프로이트의 공헌에 비유하였습니다. 1922년 피터 해밀턴은 <주식시장지표>라는 책에서 다우의 원리를 분류하였고, 로버트 레아는 1932년 <다우이론>에서 이론을 더욱 발전시켰습니다. 

반응형

다우이론의 6가지 기본원리

1. 평균값은 모든 것을 반영한다

시장이 전체 수요와 공급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가능한 지식적 요인들을 반영한다는 생각은 기술적 이론의 기본전제 중 하나입니다. 이 이론은 시장 평균에도 그대로 적용됩니다. 심지어는 '불가항력적인 현상'까지도 반영합니다. 물론 시장이 지진이나 기타 자연재해 같은 일을 예측하지는 못하지만, 이러한 현상을 거의 즉각적으로 가격움직임에 반영합니다. 

 

2. 시장은 3개의 추세를 가진다

다우는 각각의 연속적인 상승고점이 직전 고점보다 높은 곳에서 끝날 때, 그리고 각각의 연속적인 상승저점이 직전의 상승저점보다 높은 곳에서 끝날 때를 상승추세로 정의하였습니다. 달리 말하면, 상승추세는 상승하는 꼭대기들과 골짜기들을 갖고, 하락추세는 연속적으로 하락하는 꼭대기들과 골짜기들을 갖습니다. 그는 작용-반작용의 물리법칙이 금융시장에도 적용된다고 믿었습니다. 

 

다우는 추세를 각각 바다의 조수, 파도, 잔물결에 비유하여 주추세, 중추세, 소추세로 이루어져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우리는 연속적인 파도가 해변에 이르는 가장 높은 점을 보고 조수의 방향을 알 수 있습니다. 각각의 연속적인 파도가 직전의 파도보다 육지로 더 많이 들어오면 이 조수는 밀물이고, 각각의 연속적인 파도가 미치는 높이가 낮아지면 썰물이 시작되었음을 알게 됩니다. 몇 시간 머무는 바다 조수와는 달리 시장의 조수는 1년 이상 혹은 몇 년 간 계속된다고 다우는 생각했습니다. 

 

중추세는 주추세를 교정하는 단계로 보통 3주~3개월간 지속됩니다. 중간적인 교정은 일반적으로 직전 주추세 움직임의 1/3~2/3 정도까지 하락하는데, 대부분의 경우는 직전 추세의 50% 정도까지 하락합니다. 소추세는 일반적으로 3주 미만 동안 지속되며, 중추세에서의 가격등락을 나타냅니다. 

 

3. 주추세는 3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다우는 주추세가 축적단계, 대중참가단계, 분배단계의 3단계로 뚜렷하게 진행된다고 보았습니다. 축적단계는 가장 통찰력 있는 투자자가 정보를 근거로 매수하는 것을 나타냅니다. 직전 추세가 하향추세였다면 이쯤에서 날카로운 투자가는 시장이 나쁜 뉴스(악재)를 모두 반영했다고 인식합니다. 

 

대중참가단계는 가격이 빠르게 상승하고 좋은 뉴스가 퍼질 때 시작됩니다. 세번째 분배단계는 신문들이 상승시장 이야기를 점점 더 많이 다루기 시작할 때, 경제뉴스가 가장 호의적일 때, 투기적 거래와 대중의 참가가 증가할 때 시작됩니다. 이 마지막 단계에서 축적단계에서 정보를 갖고 매수했던 투자가들이 다른 사람들이 매도하기에 앞서 '분배'(팔아치우기)를 시작합니다. 

 

4. 평균지수들은 반드시 서로를 확인한다

다우는 공업과 철도 평균지수가 모두 같은 신호를 나타낼 때까지는 중요한 상승 또는 하락의 신호가 발생할 수 없다고 하였습니다. 그는 상승시장의 시작 또는 지속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두 평균 모두 직전의 제2고점을 반드시 돌파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물론 신호들이 동시에 발생하지는 않지만, 두 신호들 간의 시간 간격이 짧을수록 더욱 강한 확인을 나타낸다고 하였습니다. 이 두 평균들이 엇갈리는 경우에는 직전 추세가 여전히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하였습니다. (반면, 엘리엇 파동이론에서는 하나의 평균에서만 신호가 나타나면 됩니다.)

 

5. 거래량은 반드시 추세를 확인해야 한다

다우는 거래량을 가격 신호 확인에 있어서 2차적인, 그러나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하였습니다. 거래량은 반드시 주추세와 같은 방향으로 팽창 또는 증가합니다. 상승추세에서는 가격이 상승함에 따라 거래량이 증가하고, 가격이 하락함에 따라 거래량은 감소합니다. 반면 하락추세에서는 가격이 하락함에 따라 거래량이 증가하고, 가격이 상승함에 따라 거래량은 감소해야만 합니다. 

 

6. 어떤 추세가 반전했다는 명확한 신호를 보이기까지는 그 추세가 유효한 것으로 가정한다

어떤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는 물체는 운동방향을 바꾸기 위해 외부로부터 힘을 가하지 않는 한 계속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어떤 지표가 모멘텀 약화의 초기 신호를 나타낸다 할지라도 여전히 기존 추세가 계속될 확률이 높습니다. 이때 분석의 어려움이 발생하는데, 기존 추세에서 나타나는 정상적인 조정과 반대방향으로 나타나는 새로운 추세의 첫 파동을 구별하는 것이 그것입니다. 언제를 반전신호로 볼 것인가에 대해서는 다우이론가라 할지라도 서로 다른 견해를 갖습니다. 

사진-각기다른매도신호인식의예
반등실패와 반등성공, 각기 다른 매도신호 인식의 예

그림 2-3a에서 고점 C는 직전 고점 A보다 낮고, 가격은 B 아래로 하락합니다. 직전 저점 B가 뚫리는 S는 분명한 매도신호를 보여줍니다. 그러나 그림 2-3b에서 C의 상승고점은 직전 고점 A보다 높습니다. 그런 다음 가격이 B 아래로 떨어집니다. 어떤 분석가는 B가 뚫리는 S1을 매도시점으로 보는 반면, 어떤 분석가는 E를 확인한 후 D가 붕괴되는 S2를 매도시점으로 봅니다. 이는 보다 낮은 저점과 보다 낮은 고점 모두를 확인할 때만 확실한 추세 전환 신호로 보기 때문입니다. 

 

다우이론에 대한 약간의 비판

다우이론은 주요 상승시장과 하락시장을 밝혀내는 데 대단한 공헌을 했지만, 비판을 피할 수는 없었습니다. 평균적으로 다우이론은 확실한 가격전환 신호를 나타내기에 앞서서 움직이는 움직임의 20~25%를 놓칠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많은 거래자들이 이것은 너무 늦다고 생각합니다. 일반적으로 다우이론의 매수신호는 가격이 직전의 중간 고점을 돌파하는 두번째 단계에서 발생합니다.

 

이런 비판에 앞서 투자자들이 명심해야 할 것은, 다우는 전혀 추세 예측을 시도하지 않았다는 점입니다. 다만 그는 주요 상승과 하락 시장의 출현을 인식하고 중요한 시장움직임의 커다란 중간 부분을 포착하려고 하였다는 것입니다. 다우지수의 참된 가치는 전반적인 경기상황을 읽을 수 있는 지표로 활용함에 있었던 것입니다. 

 

우리도 이런 다우이론이 제시하는 추세전환 신호를 바탕으로 각자의 매수, 매도 시점을 잡는다면 분명 투자에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감으로 하는 투자가 아닌 분석에 의한 투자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참고문헌>>

존 J. 머피, <금융시장의 기술적 분석> 제2장. "다우이론"

 

<<함께 읽으면 좋은 글>>

 

금융시장의 기술적 분석과 배경철학(존 J. 머피)

오늘은 금융시장의 기술적 분석의 정의와 기술적 분석의 기초가 되는 배경 철학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어떤 이는 기술적 분석의 필요성에 의문을 제기하기도 하고, '바이 앤 홀드' 전

2ssue2ssue.tistory.com

 

 

[투자의 감각] - 책 소개

요즘 경제가 많이 어려워졌습니다. 금리는 오르고 주가는 떨어지고 멘탈도 떨어지는 위기의 시대입니다. 주식투자하시는 분들 계좌는 안녕하신지요? 저도 많이 힘드네요. 그러나 여기서 손들고

2ssue2ssue.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