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199 마음의 눈을 뜨면 세상이 달리 보인다 우리에게는 두 가지 눈이 있다는 것을 아십니까? 육신의 눈과 마음의 눈입니다. 육신의 눈으로만 보면, 세상이 어둡고 힘겹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마음의 눈을 뜨면 육신의 눈이 볼 수 없는 것을 보는 놀라운 경험을 하게 됩니다. 그러면 절망적인 현실도 떨쳐낼 수 있는 힘을 얻게 됩니다. 오늘은 우리가 어떻게 마음의 눈을 뜰 수 있는지에 대해 얘기해 볼까 합니다. 절망을 안겨주는 육신의 눈 1609년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망원경을 발명해서 천상의 지존 태양을 관측했습니다. 갈릴레이는 태양에서 특별하고 본질적인 기적을 기대했습니다. 그러나 그가 발견한 것은 무수히 많은 얼룩이었습니다. 천상의 순수한 불, 영적 세계의 물질, 하나님의 완벽한 불멸성과 같은 특별한 것을 보기 원했지만, 그가 발견한 것은 '마키 솔라.. 2023. 5. 13. 상실의 아픔을 치유하는 방법 1596년 극작가 윌리엄 셰익스피어는 햄넷이라는 열한 살 난 아들을 잃었습니다. 그러나 3년 동안 아들의 죽음에 관해 단 한 마디도 없었습니다. 오히려 여러 희극 작품들을 발표했습니다. 그러다 3년이 지난 1599년에야 비로소 슬픔에 젖은 비극을 쓰기 시작했습니다. 그때 탄생한 작품이 바로 (Hamlet)이었습니다. 셰익스피어는 왜 아들의 죽음에 대해 울며 한탄하는데 3년씩이나 걸린 것일까요? 은 슬픔을 이겨낸 치유의 산물 앵거스 플레처는 제8장. "상실의 아픔을 치유하라"에서 은 슬픔과 이룬 타협의 산물이요, 슬픔을 이겨낸 치유의 산물이라고 표현했습니다. "슬픔을 이겨낸 치유"는 아들 햄넷이 죽은 후 힘겨운 나날을 보내는 동안 셰익스피어가 애써 얻어낸 것이라는 말입니다. "슬픔을 이겨낸 치유"는 또한 .. 2023. 5. 11. 비관적 사고를 낙관적 사고로 바꾸는 방법 현실이 아무리 힘들어도 우리의 생각이 비관적인 생각에 사로잡히지 않는다면 우리는 어려운 현실을 헤쳐나갈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문제는 어려운 현실이 아니라, 우리의 비관적인 생각입니다. 그래서 비관적인 생각을 낙관적인 생각으로 바꿀 수 있다면 우리에겐 늘 희망이 있습니다. 어떻게 우리는 비관적인 생각을 낙관적인 생각으로 바꿀 수 있을까요? 샤를 페로 이야기 극심한 비관론에 시달리는 샤를 페로라는 사람이 있었습니다. 그는 자신의 비관론을 치유하기 위해 조카딸의 제의를 받아 화려한 복장을 하고 4륜 마차를 탄 채 17세기 파리 시내로 들어갑니다. 그가 도착한 곳은 랑베르 후작부인이 운영하던 화요 살롱이었습니다. 그녀는 활달하고 개방적인 여성으로 새롭고 신나는 이야기를 장려하기 위해 살롱을 열었습니다. 페로가.. 2023. 5. 7. 혁신을 원한다면, 정신을 해방시켜라! 당신의 현재의 삶은 만족스럽습니까? 아니면 뭔가 변화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변화는 어떻게 일어날까요? 하던 일을 더 열심히 하면 될까요? 약간의 개선은 이룰 수 있어도, 큰 변화는 일어나지 않습니다. 큰 변화는 혁신을 통해 일어납니다. 그렇다면 우리 삶에서 혁신은 어떻게 일어날까요? 혁신은 원래 부정적 의미를 담고 있던 단어였다 현대사회에서 혁신이라는 단어는 매우 긍정적이고, 가치 있고, 멋진 단어로 불립니다. 그러나 중세시대에 혁신이라는 말은 매우 부정적인 의미를 담고 있던 말이었다고 합니다. 의 저자 앵거스 플레처는, 예전에 혁신이라는 단어가 쓰인 예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탄이 천국의 위계질서에 도전한 사건이나, 하와(이브)가 에덴동산의 금지된 실과를 따먹은 사건 등을 혁신적 행동으.. 2023. 5. 5. 호기심은 행복의 중요한 요소일까? 당신은 호기심이 많은 사람입니까? 그렇지 않은 사람입니까? 호기심이 많은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 중에 누가 더 행복할까요? 혹시 이런 질문에 호기심이 생기시나요? 오늘은 호기심과 행복의 관계에 대해 얘기를 할까 합니다. 호기심과 행복의 관계 의 저자 앵거스 플레처는 자신의 책에서 호기심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호기심은 우리의 생존에 중요하다. 게다가 우리의 행복에도 중요하다." 그는 호기심이 우리에게 긍정적 정서를 높여주고, 우리를 더 유쾌하고 활기차며 더 즐겁게 살아가게 해 준다고 말합니다. 또 호기심은 우리로 하여금 새로운 발견에 대한 기대감으로 침대에서 벌떡 일어나게 해 준다고 표현합니다. 호기심은 어떻게 생길까? 위의 앵거스 플레처의 말에 의하면 호기심이 많은 사람이 더 행복한 삶을 .. 2023. 5. 2. 어떤 상황에서도 평정심을 유지하는 비결 없나요? - 셀프 풍자의 힘 소크라테스는 억울한 재판을 받고 독배를 마셔야 했습니다. 그럼에도 그는 평정심을 잃지 않고 평온한 죽음을 맞이하였습니다. 우리는 조그만 억울한 일을 당해도 발끈하며 괴로워하는데, 소크라테스는 어떻게 그럴 수 있었는지, 그 비결을 배워볼까요? 소크라테스의 비결 극심한 고통을 주는 독을 마시면서도 소크라테스는 괴로워하지 않고 평온함을 유지한 가운데 죽어갔습니다. 그는 자신의 이러한 죽음의 비결에 대해 간단한 답변을 남겨놓았습니다. "진정한 철학자는 자신의 철학으로 죽음을 훈련한다." 그의 죽음을 목격한 제자 파이돈이 플라톤에게 그의 죽음을 알리면서, 소크라테스가 마지막 몇 시간 동안 "이솝을 흉내 내며" 보냈다고 전했습니다. 플라톤은 의아해했습니다. 이솝은 어리석은 동물에 관한 우화로 소문난 이야기꾼이었기 .. 2023. 4. 30. 이전 1 ··· 12 13 14 15 16 17 18 ··· 3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