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98

대표적인 반도체 파운드리(Foundry) 기업 정리 오늘은 반도체 세 업종 중 하나인 파운드리 기업들에 대해 정리해 보고자 한다. 파운드리 기업(Foundry Company) 파운드리 기업(Foundry Company)은 팹리스 기업이 설계한 반도체를 전문적으로 제조해 주는 기업이다. 파운드리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는, 성숙공정의 반도체를 생산하는 파운드리 기업이다. 주로 8인치와 12인치 웨이퍼로 반도체를 생산한다. 이 중 8인치는 주로 자동차용 반도체 생산에, 12인치는 기타 다른 반도체 생산에 쓰인다. 둘째는, EUV(extreme ultraviolet; 극자외선) 공정을 이용해 첨단 반도체를 생산하는 파운드리 기업이다. TSMC, 삼성전자, 인텔이 여기에 해당한다. 1. TSMC(Taiwan Semiconductor Manufac.. 2023. 9. 11.
반도체 설계 전문기업 팹리스(Fabless) 정리 반도체 업종은 세 분야로 나눌 수 있다. 설계에서 제조 및 패키징까지 모두 진행하는 IDM(종합반도체기업), 제조만을 담당하는 파운드리, 그리고 설계만을 전문적으로 진행하는 팹리스 기업이다. 오늘은 차량용 반도체와 관련된 팹리스 기업에 대해 정리해 본다. 팹리스 기업(Fabless Company) 1. 엔비디아(NVIDIA) GPU로 유명한 엔비디아는 게임분야로 사업을 시작했다. 지금은 AI 열풍에 힘입어 강력한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 CEO 젠슨 황(Jensen Huang)은 엔비디아의 차세대 성장동력 중 하나로 자동차 분야를 생각하고 있다. 엔비디아는 영국의 완성차 기업 재규어 랜드로버와 자율주행 칩 개발을 위해 파트너십을 맺고, 2025년 출시 차량에 엔비디아의 차량용 반도체를 탑재하기로 하였다... 2023. 9. 7.
차량용 반도체를 생산하는 종합반도체 기업(IDM) - 어디에 투자할까? 요즘 모빌리티라는 주제가 화두 중의 하나다. 앞으로 세상은 다양한 이동수단이 등장할 것이다. 자율주행차, UAM(도심형 항공 모빌리티), PBV(Purpose Built Vehicle: 목적 기반 차량), 로보택시, 전동식 킥보드, 로봇 및 드론 등 다양하다. 이와 같은 모빌리티의 발전을 좌우하는 것은 이러한 것들을 자율적으로 움직이게 하는 반도체이다. 따라서 오늘은 이러한 모빌티티 또는 차량용 반도체를 생산하는 종합반도체 기업들에 대해 핵심만 정리해 보고자 한다. IDM(Integrated Device Manufacturur: 종합반도체기업) 1. 삼성전자(Samsung Electronics) 삼성전자는 차량용 반도체 사업에 본격적으로 뛰어든 건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차량용 반도체 시장이 그리 크지 .. 2023. 9. 4.
자율주행차와 반도체의 미래 현대사회에서 반도체는 무엇일까? 저자인 정인성은 반도체를 혁신의 동반자, 새로운 혁신의 마중물로 표현하였다. 결국 반도체 없이는 인류 문명의 혁신과 발전은 이루어질 수 없다는 얘기다. 우리 사회가 혁신을 거듭하려면 반도체의 발전과 생산이 뒷받침되어야 한다는 뜻이다. 특히, 최근 플랫폼 시장에서 가장 뜨거운 주제는 자율주행차이다. 앞으로 수년간 자동차가 겪을 변화는 과거 100년간 자동차가 겪었던 변화보다 더욱 클 것으로 생각된다. 그것은 자동차가 전동화되고 자율주행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 과정에서 반도체 특히 차량용 반도체는 현재보다 엄청나게 많이 필요해질 것이다. 그래서 오늘은 자율주행차와 반도체의 미래에 대해서 전망해 보고자 한다. 자동차와 반도체 내연기관 자동차에는 반도체가 얼마나 쓰일까? 라는 .. 2023. 9. 2.
빅데이터가 만들어갈 미래 세상 세상은 진화하고 있다. 세상의 진화는 혁신에 의해 만들어진다. 최근엔 혁신의 속도가 매우 빨라지고 있다. 달리 말하면 세상의 변화 속도가 너무 빠르다. 10년 뒤 미래사회는 어떻게 변화되어 있을까? 우리가 상상하는 그 이상의 변화가 닥칠 수도 있다. 미래 세상을 가늠해 보자. 플랫폼의 진화 과정 강방천 회장은 에서 "나는 미래세상은 빅데이터를 중심으로 한 새로운 혁신이 펼쳐질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러한 혁신은 세 단계의 과정을 거치면서 발전되어 왔다고 설명한다. 1차 혁신 1차 혁신은 하드웨어를 중심으로 한 깔림(인프라)의 혁신이었다. 그 중심에는 2008년 등장한 스티브 잡스의 아이폰이 있다. 아이폰의 등장 이후 MDN(모바일 디지털 네트워크)이라는 새로운 땅이 개척되었다. 2차 .. 2023. 9. 1.
미래투자 핵심 키워드 MDN, 그리고 테슬라 주식투자는 미래의 꿈을 먹고 산다고 한다. 그러나 미래는 불확실하다. 미래의 불확실성 속에서 어떻게 꿈을 발견할 수 있을까? 다가오는 미래를 잘 읽을 수 있다면, 우리의 투자 역시 좋은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 오늘은 미래투자의 핵심키워드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미래를 내다보는 생각의 힘을 키워보자. 모바일 디지털 네트워크(MDN: Mobile Digital Network) 에셋플러스자산운용의 강방천 회장은 미래투자에 대한 모든 내용을 관통하는 핵심 키워드로 모바일 디지털 네트워크(MDN)를 꼽는다. 그는 최근 목격하는 수많은 현상들을 이해하고 해석하는 기초를 MDN에 둔다. MDN의 특성 강방천 회장이 주장하는 MDN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 소유보다는 활용 ▶ 고정성보다는 .. 2023. 8.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