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투자는 미래의 꿈을 먹고 산다고 한다. 그러나 미래는 불확실하다. 미래의 불확실성 속에서 어떻게 꿈을 발견할 수 있을까? 다가오는 미래를 잘 읽을 수 있다면, 우리의 투자 역시 좋은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 오늘은 미래투자의 핵심키워드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미래를 내다보는 생각의 힘을 키워보자.
모바일 디지털 네트워크(MDN: Mobile Digital Network)
에셋플러스자산운용의 강방천 회장은 미래투자에 대한 모든 내용을 관통하는 핵심 키워드로 모바일 디지털 네트워크(MDN)를 꼽는다. 그는 최근 목격하는 수많은 현상들을 이해하고 해석하는 기초를 MDN에 둔다.
MDN의 특성
강방천 회장이 주장하는 MDN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 소유보다는 활용
▶ 고정성보다는 이동성
▶ 한계생산성 체감이 아닌 한계생산성 체증
▶ 비용에 매몰되는 승자의 저주가 아닌 비용 증가가 없는 승자 독식
멧칼프 법칙
멧칼프 법칙은 MDN의 이론적 배경인데, 네트워크 효용성에 대한 법칙이다. 즉, 네트워크의 가치는 그 네트워크에 참여한 사용자 수의 제곱에 비례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보자. 가입자가 100명인 A회사의 네트워크 가치는 100의 제곱, 즉 10,000명의 가치가 있다. 한편 가입자 150명의 B사는 150의 제곱인 22,500명의 네트워크 가치가 있다. 그런데 A사와 B사가 합병을 하면 네트워크 가치는 얼마가 될까? 10,000명 더하기 22,500명은 32,500이 된다. 이게 합병된 회사의 진짜 네트워크 가치일까? 아니다. 100명 더하기 150명의 합 250명의 제곱, 즉 62,500명이 멧칼프 법칙에 의한 네트워크 가치가 된다.
합병 전 두 회사의 경제적 가치 총합은 32,500이었지만, 합병 후에는 62,500으로 전환되는 마법 같은 현상이 일어난다. 이처럼 MDN(모바일 디지털 네트워크) 세상은 비용의 수반 없이 한계생산성 체증 현상을 일궈낼 수 있게 된다.
테슬라에겐 어떤 멧칼프 법칙이 일어날까?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는 지금 공들여 개발하고 있는 완전자율주행(FSD: Full Self Driving) 프로그램을 다른 완성차 업체들에게 라이센싱 하겠다고 한다. 왜 그럴까? 테슬라 혼자서만 FSD 기술을 사용하면 희소성이 생겨서 테슬라 전기차의 판매가 증가될 텐데 바보스런 결정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그러나 천재 머스크가 이런 결정을 내린 데에는 그보다 더 큰 경제적 이득이 있기 때문일 것이다.
바로 멧칼프 법칙에 의한 네트워크 가치의 폭증에 있지 않을까? 테슬라 전기차 뿐만 아니라 타사의 자동차에도 테슬라의 FSD 프로그램이 장착된다면, 그 수많은 데이터는 테슬라의 차지가 된다. 그렇게 수집된 운행 정보는 테슬라의 완전자율주행 프로그램의 완성도를 더욱 높여줄 뿐만 아니라, 빅데이터를 활용한 또 다른 사업 영역을 확장할 수도 있게 될 것이다. 물론 라이센싱 수수료 수입도 만만치 않을 것이다.
또한 테슬라는 전기차 충전소 슈퍼처저 역시 다른 자동차 회사들에게 개방하였다. 여기에 포드, GM 등 여러 회사들이 합류하였다. 테슬라 이외의 브랜드 차들로부터 들어오는 충전 수입 또한 만만치 않을 것이다. 이런 면들을 볼 때 테슬라는 단지 전기차 제조회사가 아님을 알 수 있다.
테슬라는 소프트회사이고, 네트워크 플랫폼 회사임을 알 수 있다. 테슬라는 굳이 합병을 하지 않아도 합병의 효과를 내는 방식을 구현해 내고 있다. 독자 소유가 아닌 공동 활용을 통해 한계비용은 체감시키고, 한계생산성은 증가시키는 방식을 취하였다. 비용 증가 없이 타사 고객마저 자신의 회사 고객으로 만들어내다니 참으로 멋진 일 아닌가?
물론 이런 방식을 통해 다른 회사들 역시 이익을 본다. 자체 FSD나 자체 충전소를 만들려면 비용 뿐만이 아니라 시간도 많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라이센싱 방식으로 비용과 시간을 아끼면서 전기차 시장에 빨리 뛰어들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물론 이런 과정을 통해 테슬라의 시장 지배력은 더욱 강화될 것이지만 말이다. 개방성을 통해 테슬라는 지금 비용 증가 없는 승자 독식을 꿈꾸는 것은 아닐까?
또한 지금은 루머에 불과하지만, 테슬라가 양자컴퓨터를 만드는 아이온큐를 인수하지 않을까 하는 얘기가 있다. 그렇게 되면 테슬라의 슈퍼컴퓨터 도조와 아이온큐의 양자컴퓨터가 만들어내는 시너지 효과는 얼마나 될까? 상상할 수 없는 일이 벌어질 수도 있지 않을까? 테슬라의 미래가 빨리 보고 싶다.
<<참고문헌>>
한국경제신문, <강방천의 관점>
<<함께 읽으면 좋은 글>>
2023.08.27 - [경제와 투자 이야기] - 강방천의 부자되는 방법 - 테슬라는 미래 1등 기업일까?
강방천의 부자되는 방법 - 테슬라는 미래 1등기업일까?
오늘은 에셋플러스자산운용의 강방천 회장의 부자 되는 방법, 강방천 회장에게 배우는 주식투자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오늘 내용은 에서 발췌하였다. 에셋플러스의 3대 철학과 운용 원칙1. 3대
2ssue2ssue.tistory.com
2023.06.24 - [경제와 투자 이야기] - 제2의 애플을 찾으라 - 테슬라
제2의 애플을 찾으라 - 테슬라
과연 제2의 애플은 어느 회사가 차지할까? 요즘 테슬라가 제2의 애플이 될 것이란 추측과 전망이 나오고 있다. 그래서 테슬라에 올인하고 있는 사람들도 많아지고 있다. 필자의 의견을 묻는다면,
2ssue2ssue.tistory.com
'경제와 투자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율주행차와 반도체의 미래 (1) | 2023.09.02 |
---|---|
빅데이터가 만들어갈 미래 세상 (1) | 2023.09.01 |
좋은 종목 고르는 강방천의 11개 관점 (0) | 2023.08.28 |
강방천의 부자되는 방법 - 테슬라는 미래 1등기업일까? (0) | 2023.08.27 |
가치 있는 주식 찾는 법 - <강방천의 관점> (0) | 2023.08.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