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슈 이야기

메타버스(METAVERSE)

by 박노찬 2022. 10. 25.
반응형

최근에 페이스북이 사명을 메타로 바꾸었습니다. 페이스북은 왜 사명을 메타로 바꾸었을까요? 아마도 페이스북은 미래 사회가 지금보다 더 메타 세계가 될 것을 확신하였기 때문이 아닐까 합니다. 이미 페이스북 자체가 메타버스 기업인데 굳이 사명까지 메타로 바꾼 데는 분명한 이유가 있을 것입니다. 아마도 페이스북은 앞으로 펼쳐질 메타버스 세계에서 제1 강자의 위치를 점하기 위해서 사명까지 아예 메타로 바꾼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입니다.

    앞으로 페이스북이 메타버스 세계의 제1위 기업이 될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세계 굴지의 기업들, 즉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아마존 등과 같은 기업들 모두 메타버스를 준비하고 있고, 그들과의 경쟁은 만만치 않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아무튼 페이스북은 메타버스에 사운을 걸고 메타버스 기업으로의 변신을 꾀하고 있는 듯합니다.

    분명한 사실은 어느 기업이 메타버스 세계의 일인자가 되든 메타버스 세계는 지금보다 더 확장되고 거기에 거주하는 지구인들의 숫자는 점점 더 많아질 것이며, 모든 기업들은 메타버스 안에서 기업활동을 하게 될 것이고, 모든 정치인들 역시 메타버스 안에서 선거 홍보 및 정치활동을 하게 될 것이며, 학생들 역시 지금보다 더 많은 시간을 메타버스 안에서 배우고 놀고 친구를 사귀게 될 것이라는 사실입니다. 

 

메타버스의 정의 

 

메타버스는 초월이나 가상을 뜻하는 메타(meta)와 세계, 우주를 뜻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입니다. [디지털 지구, 뜨는 것들의 세상 메타버스]의 저자 김상균은 메타버스를 물리적 지구와는 반대되는 개념으로 '디지털 지구'라 표현하였습니다. 즉 우리는 물리적 지구와 디지털 지구 두 곳에서 살고 있는 셈입니다. 스마트폰이나 컴퓨터, 인터넷 등 디지털 기기에 구현해 놓은 새로운 세상을 메타버스라 할 수 있는 것입니다. 

    이제 우리는 더 이상 물리적 지구에서만 살 수 없는 세상이 되었습니다. 은행 점포는 날로 줄어들고 있고, 은행에 가서 계좌를 개설해도 이제는 종이 통장을 만들어주지 않고, 단지 스마트폰 안에 계좌를 만들어주는 세상이 되었습니다. 우리는 이러한 현실에 적응해야 하고, 적극적으로 뛰어들어서 메타버스가 주는 편리성을 누릴 수 있어야겠습니다. 그래야 물리적 지구에 홀로 남겨지는 일을 당하지 않을 것입니다. 친구들은 다 메타버스에 들어가 만나고 수다를 떨면서 게임을 하고 있는데 나 홀로 현실에 남아 왕따를 당할 수만은 없지 않습니까? 메타버스 세계에서는 현실에서는 사귈 수 없는 새로운 친구를 만날 수도 있고, 현실에 없는 세상을 경험할 수도 있습니다. 과거 쥐라기 시대로 돌아갈 수도 있고, 100년쯤 미래 세계를 경험해 볼 수도 있습니다. 물론 그런 세계는 인간의 상상력으로 구현해낸 가상 세계일 뿐이겠지만 말입니다. 

 

디지털 지구

 

메타버스의 분류

 

김상균의 [메타버스]에서는 4가지로 분류합니다. 증강현실 세계, 라이프로깅 세계, 거울 세계, 가상 세계가 그것입니다. 

 

    1.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세계

    현실 세계에 판타지와 편의가 덧입혀진 세계입니다. 

 

    2. 라이프로깅(lifeloging) 세계

    현실 생활에서의 경험과 정보를 디지털 공간에 기록하고 공유하는 세계입니다.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트위터, 카카오 스토리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3. 거울 세계(mirror world)

    현실 세계의 모습이나 정보, 구조 등을 가져다가 복사하듯이 만들어 낸 메타버스입니다. 현실 세계에 효율성과 확장성을 더해 만들어집니다. 구글 어스(Google Earth), 네이버 맵(Naver Map), 에어비앤비, 배달의 민족 , 줌, 카카오 유니버스 같은 것들입니다. 

 

    4. 가상 세계(virtual world)

    가상 세계는 어디에도 없던 새로운 세상을 뜻합니다. 현실과는 다른 공간, 시대, 문화적 배경, 등장인물, 사회 제도 등을 디자인해 놓고 그 속에서 살아가는 메타버스입니다. 이 가상 세계에서 사람들은 아바타를 통해 활동합니다. 로블록스, 포트 나이트 가 대표적입니다. 

 

메타버스의 인격 = 멀티 페르소나

페르소나는 본래 고대 배우들의 가면을 뜻하는 말이었으나 현대적 의미로는 인격, 성격을 뜻하는 단어로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메타버스에서는 본래 자신의 성격과는 다른 인격의 소유자로 활동하기도 합니다. 그것도 여러 메타버스에서 다양한 페르소나로 등장합니다. 메타버스 안에서 우리는 마치 지킬과 하이드처럼 사는 것입니다. 그러나 그것은 어떤 의미에서는 아직 발로 되지 않은 진정한 내면의 자아인지도 모릅니다.

    또한 메타버스 안에서는 자신의 단점보다는 장점을 부각하게 되고, 액면 그대로의 자신보다는 포장된 자신의 모습을 표현하게 됩니다. 또한 익명성으로 인한 폭력의 문제가 제기되기도 합니다. 메타버스가 더 좋은 방향으로 발달되기 위해서 익명성의 가면 뒤로만 숨지 말고 상호 존중하는 디지털 예절이 필요하리라 생각합니다. 

 

주목해야 할 메타버스 기업

    1. 아마존

    아마존은 세계 클라우드 시장 점유율 1위 기업입니다. 메타버스가 존재하기 위한 인프라를 아마존이 전체 시장의 3분의 1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넷플릭스, 트위치, 링크드인, 페이스북, 빅히트 엔터테인먼트 등도 아마존의 고객입니다. 

 

    2. 마이크로소프트 

    마이크로소프는 메타버스 세계로 접속하기 위한 윈도즈 OS나 비디오 게임기 엑스박스, 태블릿, 홀로렌즈 등의 매출 증가가 예상됩니다. 또한 마이크로소프트는 링크드인과 마인크래프트와 같은 플랫폼을 소유하고 있습니다. 

 

   3. 메타(페이스북)

    본래 소셜미디어 기업으로 출발한 페이스북은 최근 메타로 이름을 바꾸면서 회사의 사운을 걸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만큼 메타버스 사업에 전력을 다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증강현실, 가상현실에 더 많은 투자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가상현실 장비 '오큘러스'와 미래형 가상세계 사무실 '인피니트 오피스', '스마트 글래스' 등을 통해 메타버스 사업의 다각화를 꾀하고 있습니다.

 

    4. 구글 

    구글은 구글 지도를 통해 거울 세계 메타버스의 강자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다양한 기업들이 구글 지도 정보를 사용하면서 다양한 메타버스를 구현하고, 또 구글은 그 정보를 가져다 축적합니다. 구글 어시스턴트, 네스트, 핏빗 등을 통해 구글 생태계를 구축하려고 합니다. 

 

    5. 게임 기업들

    게임 회사들은 시각화 기술을 통해 증강현실과 가상 세계를 현실감 있게 구현해 낼 수 있습니다. 3D 그래픽 엔진 시장의 강자 유니티 테크놀로지, 에픽게임즈, 텐센트 등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