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막 사회생활을 시작하는 사회초년생과 청년 여러분, 빨리 목돈마련 하고 싶으시죠? 여러분의 그 간절한 기대에 부응하는 정부 지원 정책이 나왔기에 오늘 소개합니다. 가장 빠르게 5년간 5,000만 원을 모을 수 있는 방법이니 잘 읽어보시고 꼭 목돈마련 하시기 바랍니다.
2023 청년도약계좌
오늘 소개할 청년들의 목돈마련을 위한 정부 지원 정책은 바로 청년도약계좌입니다. 이 상품은 5년간 매월 70만 원 한도로 일정금액을 납입하면 정부 지원금과 은행 이자를 더한 금액을 만기 시에 수령할 수 있는 정책형 금융 상품입니다. 예를 들어, 매월 70만 원씩 저축한다면 만기 시 최대로 5,000만 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어때요? 구미가 당기시죠? 그렇다면 과연 나도 가입할 수 있는지 가입 자격 및 조건을 알아봐야겠죠.
가입 자격 및 조건
■ 나이 조건
만 19세 ~ 34세 청년 (단, 최대 6년의 병역 이행기간은 연령계산에 포함되지 않아 군필자의 경우 35세까지 가입 가능)
■ 소득 조건
개인소득 7,500만원 이하,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여야 합니다. 단, 직전 3개 연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에 해당했다면 가입이 제한됩니다. 2023년도 기준 중위소득 180%는 아래 표와 같습니다. (출처: 보건소)
가구원수 | 기준 중위소득 180% (원/ 월) |
1인 | 3,740,205 |
2인 | 6,222,000 |
3인 | 7,983,000 |
4인 | 9,722,000 |
5인 | 11,369,000 |
6인 | 13,011,000 |
7인 | 14,594,000 |
8인 | 16,177,000 |
신청기간 및 방법
■ 신청기간
2023년 6월 ~12월 (매월 2주간 접수를 받고, 2~3주 내 결과 통보)
■ 신청방법
취급 금융기관(은행) 방문 접수 및 모바일 접수 (취급 기관은 추후 발표 예정)
정부기여금과 은행 이자
■ 정부기여금
정부의 기여금은 개인소득과 납부금액에 따라 달라집니다. 상세한 내용은 아래 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예를 들어 년 소득이 2400만원 이하의 저소득층이 최대의 혜택을 보려면 월 40만 원까지 불입하여야 하고, 그때 정부는 6.0%의 매칭비율로 지원을 해서 최대 월 24,000원의 기여금을 받게 됩니다. 물론 40만원 이상 불입할 수 있지만, 40만 원 이상분에 대해서는 정부 기여금은 없고, 은행 이자만 받게 됩니다.
또 소득이 년 6,000 ~ 7,500만원 사이인 사람은 청년도약계좌에 가입은 가능하나, 정부의 기여금은 받지 못합니다. 다만 이자소득에 대한 15.4%의 비과세 혜택은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일반 적금보다는 훨씬 유리합니다.
■ 은행 이자(금리)
은행 금리는 아직 구체적으로 정해지지 않았지만, 저소득층에게는 우대금리를 주는 쪽으로 설계될 전망입니다. 기본적인 틀은 가입 후 최소 3년간은 고정금리가 적용되고, 그 후 2년 동안은 변동금리가 적용될 예정입니다. 금융위원회는 3년 이상 고정금리가 적용될 수 있게끔 금융권과 협의 중에 있습니다. 향후 금리인하가 예상되기 때문에 고정금리가 높을 때 빨리 가입할수록 유리합니다.
추가 정보
■ 중도해지 시 혜택은?
기본적으로 5년 만기 상품이므로 만기 전 해지할 경우에는 혜택을 받지 못합니다. 단, 가입자의 사망, 해외 이주, 퇴직, 사업장 폐업, 천재지변, 장기 치료가 필요한 질병, 생애 최초 주택 구입 등 특별 요건에 해당할 경우에는 5년을 채우지 못하고 중도해지해도 기여금과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청년희망적금에서 갈아탈 수 있나?
문재인 정부에서 시행한 청년희망적금에서 지금의 청년도약계좌로 바로 갈아타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청년희망적금이 만기가 되었거나 중도해지해야 가입할 수 있습니다.
■ 중복가입 가능상품은?
청년내일저축계좌나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 지자체 상품 등은 청년도약계좌와 중복 가입이 가능합니다.
■ 담보대출은 가능한가?
청년도약계좌 납입액을 담보로 한 예, 적금 담보대출도 받을 수 있습니다. 긴급한 자금 수요가 생기더라도 청년도약계좌를 중도에 깨지 않도록 한 혜택이므로, 긴급 자금 필요시 적극적으로 이용하셔서 목돈마련의 기회를 이어가시기 바랍니다.
좋은 정보 얻으셨길 바라며, 추후 세부적인 일정과 내용 나올 때 다시 도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대한민국 청년들 파이팅!!!
'경제와 투자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청년,신혼부부 매입임대주택 입주자격 및 청약방법 (0) | 2023.03.24 |
---|---|
소액생계비 대출 - 대상, 한도, 신청방법 (1) | 2023.03.23 |
아파트 중도금 대출이자 현황과 단지마다 다른 이유 (0) | 2023.03.19 |
SVB 파산이 촉발한 긴축(금리인상) 속도조절론 (0) | 2023.03.14 |
SVB 충격적 파산 - 제2의 리먼사태 되나? (0) | 2023.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