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와 투자 이야기

SVB 파산이 촉발한 긴축(금리인상) 속도조절론

by 박노찬 2023. 3. 14.

미국의 실리콘밸리은행(SVB)과 시그니처은행의 파산으로 세계는 제2의 금융위기 사태가 오지 않을까 하는 공포에 휩싸여 있습니다. 과연 앞으로 세계 경제가 어떻게 흘러갈 것인지에 대한 걱정이 팽배한 가운데, 최근 며칠 동안 벌어진 미국의 동향을 살펴보며 미래를 전망해 보겠습니다.
 

긴축속도조절론
긴축속도조절론

파산 은행 예금 전액 보증 결정

다행스럽게도 미 연방정부는 파산한 SVB의 예금 전액을 보증하기로 하였습니다. 따라서 SVB 고객들은 현지시각 13일부터 예금을 인출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시그니처은행에도 비슷한 조치가 취해졌고, 자금이 필요한 은행에 유동성을 공급하겠다고 미 재무부와 중앙은행(Fed), 연방예금보험공사(FDIC)가 공동성명을 발표했습니다. 
 
이러한 조치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도 쓰지 않았던 긴급 처방입니다. 리먼브라더스 파산 때는 무이자 예금에 대해서만 한도 없는 보증을 해줬습니다. 금융시스템이 무너지면 제2의 금융위기가 올 것이 불 보듯 뻔하기 때문에 발 빠른 조처를 한 것으로 보입니다. 
 

속도조절론 급부상

이러한 극약 처방에 시장은 안도한 듯합니다. 더불어 Fed가 긴축 속도를 조절할 것이며, 아마도 올 해 안에 기준금리를 인하할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금리에 민감한 나스닥 주가도 안정을 찾아 검은 월요일을 피했으며, 지난 주말 하락에 반해 월요일 반등을 했고, 화요일 개장 전 주가도 상승하고 있는 중입니다. 이러한 시장의 반응은 향후 금리전망에 대한 낙관론을 반영하고 있다고 봐야 할 것입니다. 
 
이제 관심은 다가오는 3월 FOMC(연방공개시자아위원회)에서 과연 금리를 올마나 올릴 것이냐에 쏠려 있습니다. 빅스텝, 즉 기준금리를 0.5% 포인트 올릴 확률은 전날까지만 해도 40.2%였었는데, 오늘은 0%로 떨어졌습니다. 시장은 이제 Fed가 결코 빅스텝으로 금리를 올리지 못할 것으로 확신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그도 그럴 것이 SVB 파산의 원인은 Fed의 고강도 긴축(기준금리 인상)으로 SVB가 보유한 미 국채가격의 하락으로 일어난 일이라 지목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베이비스텝이냐, 금리동결이냐?

그렇다면 과연 Fed는 금리를 얼마나 올릴 것인가가 관건입니다. 한 번에 기준금리를 0.25% 포인트 올리는 베이비스텝의 가능성이 96%로 뛰었습니다. 또한 소수의 의견이긴 하지만 3월에 금리 동결할 것이란 의견도 있습니다. 이런 전망을 내놓은 곳이 바로 골드만삭스입니다. 골드만삭스는 3월 동결에 이어, 5, 6 , 7월에 Fed가 각각 0.25% 포인트 인상을 해서 최종금리가 연 5.25~5.5%가 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습니다. 다만 페드워치에서는 3월 금리 동결 가능성에 대해서는 4% 정도로 낮게 내다봤습니다. 
 

피봇 시기 당겨질까?

더불어 월가에서는 피봇(정책 기조 전환) 시기가 당겨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한 달 전만 해도 피봇의 시기는 내년 초로 예상되었었습니다. 하지만 SVB 사태로 예상 시점이 올 11월로 앞당겨졌습니다. 11월 금리 인하 확률이 1주일 전에는 1.7%에 불과했었는데, 36%로 높아졌습니다. 
 
이번 사태에 대한 Fed의 책임론도 피봇이 앞당겨질 것이란 전망에 힘을 실어주고 있습니다. Fed는 최근 1년 동안 기준금리를 4.5% 포인트나 올렸습니다. 이것은 1980년대 이후 가장 급격한 금리 인상 폭입니다. 급격한 금리 인상의 부작용이 SVB의 파산으로 현실화되고 있는 것입니다. 
 
변수는 14일에 발표되는 2월 소비자물가지수(CPI)입니다. 물가가 잡히는 결과가 나온다면 Fed는 부담없이 베이비스텝이나 금리동결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여전히 물가가 높게 나온다면 Fed의 고민은 깊어질 것입니다. 
 
<참고문헌>
한국경제신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