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한국인들은 세계적인 '숏 슬리퍼'라고 합니다. 다른 나라 사람들에 비해 잠을 적게 잔다는 뜻입니다. 이 말에는 긍정적인 의미와 함께 부정적인 의미 또한 담겨 있습니다. 긍정적인 의미로는 잠을 줄여서라도 무엇인가를 이룬다는 뜻이 있고, 부정적인 의미로는 건강에 절대적으로 해롭다는 뜻이 내포되어 있습니다. 산업성장기에는 잠을 적게 자는 것이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수 있었으나, 요즘과 같이 성장보다는 성숙, 웰빙을 강조하는 시대에는 부정적인 요소가 더 많은 것 같습니다. 특히 건강과 관련하여 수면부족은 상당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수면과 건강의 관계, 다시 말하면 수면 부족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합니다.
수면과 건강의 관계
수면(잠)은 우리의 전반적인 건강과 웰빙에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수면은 우리 몸이 적절한 기능을 유지하는데 매우 중요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수면 부족은 다양한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수면 중에 우리 몸은 조직을 복구하고, 근육을 성장시키며, 성장과 스트레스를 조절하는 호르몬을 분비합니다.
수면 부족의 문제
● 미국질병통제예방센터는 수면 부족이 고혈압, 심장병, 비만, 당뇨병 및 우울증 등과 관련이 깊다고 했습니다. 수면 시간이 7시간 미만인 사람은 심장마비와 그와 관련된 증상을 많이 겪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또한 수면 부족은 면역 체계를 약화시키어 결국 질병 감염에 취약하게 만듭니다. 하루에 5~6시간 미만으로 자는 사람은 7시간 이상 자는 사람에 비해 감기에 걸릴 확률이 4배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또한 만성 수면 부족은 알츠하이머와 파킨슨병 및 유방암과 결장암을 포함한 특정 암 발병 위험도 높이는 것으로 나옵니다.
● 또한 수면 부족은 신체 건강 외에 정신 건강에도 매우 해롭습니다. 충분한 수면을 취하지 않는 사람들은 감정의 기복, 짜증, 불안을 경험할 가능성이 더 높으며 우울증 및 기타 정신 건강 장애가 발생할 위험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우울증 환자의 75%는 수면 장애를 겪고 있으며, 불면증을 겪는 사람에게서 정신질환이 나타날 가능성은 일반인에 비해 1.6배가 높습니다.
● 또한 수면 부족은 다이어트에도 방해가 됩니다. 한 연구에서 피실험자에게 하루 4시간만 자게 했더니 다음날 식사량이 385kcal 증가했습니다. 참고로 밥 한 공기의 열량은 272kcal입니다. 그러니 살을 빼고자 한다면 충분한 수면을 취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 또한 수면 부족은 학습 능력을 떨어뜨립니다. 잠을 제대로 못 자면 낮 동안에 공부한 것을 장기 기억으로 전환하는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수면학습이론에 의하면 우리 뇌는 우리가 잠을 자는 동안 낮 동안에 입력된 정보를 적절한 장소에 정리 보관하는 일을 수행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나중에 어떤 정보를 필요로 할 때 기억해 내는 것입니다. 그래서 공부를 잘하려면 적절한 공부와 적절한 수면 시간이 필요한 것입니다. 잠을 줄이면서까지 공부하는 것은 효과적인 학습법이 아닌 것입니다.
적절한 수면 시간
성인은 하루에 7-9시간의 수면을 취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또한 어린이와 청소년은 더 많은 수면 시간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개인마다 수면 요구 사항은 다를 수 있으며 전반적인 건강과 웰빙을 유지하기 위해 몸의 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충분한 수면을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잠의 과학
수면과 건강의 관계에 대하여 중요한 정보를 알려주는 책이 있어 소개합니다. 월리스 B. 맨덜슨이 쓴 <잠의 과학>입니다. 이 책은 잠의 중요성과 잘 자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알려주는 과학적인 지침서입니다. 저자 월리스 B. 맨덜슨은 미국 시카고대 정신의학 및 임상약학 명예교수입니다.
나오며
우리는 때때로 일 욕심에 잠을 줄이면서 일을 하게 됩니다. 몸은 피곤하고 지치지만 하던 일을 마저 하기 위해 잠을 미루기도 합니다. 때로는 돈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야간에 일을 해야 하고, 낮 시간에 쪽잠으로 부족한 수면을 채우기도 합니다. 그러나 건강을 잃으면 다 잃는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우리 한국인들은 이제 일보다는 수면시간을 늘려가야 할 때입니다. 그래야 건강도 잃지 않고 삶의 질도 높일 수 있습니다. 적절한 수면 시간의 확보로 건강과 웰빙을 챙기시기 바랍니다.
'건강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릎 관절에 좋은 운동과 영양제 (1) | 2023.10.27 |
---|---|
치매간병보험 가입 전 확인해야 할 중요사항 (1) | 2023.03.26 |
두통의 종류와 치료법, 뇌졸중과의 관계 (0) | 2023.03.19 |
만성 콩팥병의 징후(증상)와 예방 및 관리법 (1) | 2023.03.16 |
알츠하이머병의 원인과 증상, 치료 및 예방법 (1) | 2023.03.15 |